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상] 美 사회문제된 '현기차 훔치기 챌린지'… 시애틀 결국 칼 빼들었다
[미국서 기아차를 훔쳐 운전하는 모습 영상][유튜브 갈무리]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미국에서 10대를 중심으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를 훔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챌린지가 번져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시애틀시 당국이 현대·기아차를 상대로 책임을 지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26일(현지시간) 현지매체에 따르면, 시애틀 검찰은 전날 법원에 현대·기아차가 절도방지 기술(이모빌라이저)을 적용하지 않아 절도 사건이 증가해 납세자들의 부담으로 이어졌다며 현대·기아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이모빌라이저란 차량 도난을 막기 위해 차량의 키마다 고유의 암호 장치를 심어 차량 주인 외에는 차량을 조작하기 못하게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검찰 측은 "기아와 현대차는 원칙을 무시하고 고객과 대중을 희생시키면서 비용 절감을 선택했다"며 "도난 사고가 급증하면서 경찰은 문제 해결을 위해 씨름해야 했고 납세자들은 절도 증가에 따른 부담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애틀 당국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차의 도난 건수는 2021년부터 2년 새 각각 503%, 363% 증가했다. 현대차와 기아차 일부 차종에 이모빌라이저가 없는 점을 노려 절도 대상으로 삼는 범죄가 SNS를 타고 유행처럼 미국 전역에 퍼지면서 도난이 급증했다. 차를 훔치는 법을 알려주고, 훔친 차량을 모는 모습을 자랑하는 SNS 챌린지가 '기아 보이즈'(kia boyz)와 같은 해시태그를 달고 확산됐다.

미국에서 생산된 2011∼2021년형 기아와 2015∼2021년형 현대차에는 이모빌라이저가 탑재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모빌라이저가 기본 탑재된 국내 생산 차량들과 달리,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해당 보안장치가 애초부터 선택 사양으로 설정된 경우가 많다.

소송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위스콘신, 오하이오, 미주리, 캔자스 등지에서도 차주들이 집단으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등 지방자치단체도 소송을 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차주들에게 핸들 잠금장치를 지원하고 도난을 방지하는 보안 키트를 제공했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시애틀 현지 매체에 보낸 성명을 통해 "현대차는 차량 도난을 막기 위해 일련의 조처를 했다"며 "(시애틀 당국의) 이번 소송은 부적절하고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