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동구, 단독·다가구 재활용 배출 정거장 사업 확대 운영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주택가 재활용품 분리배출을 위한 ‘성동 푸르미 재활용정거장’ 사업을 올해 116개소로 확대 운영한다.

재활용정거장은 매주 2회 목요일과 일요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2시간 동안 주택가 골목길에 이동식 분리배출함을 설치, 투명 페트병, 캔‧고철류 등 8개 품목의 재활용품을 분리 배출하는 사업이다.

2020년 6개소에서 시작해 2021년 102개소, 지난해는 112개소, 올해는 116개소로 점진적으로 확대했다. 관내 17개동에서 운영하는 재활용정거장에는 2인 1조로 활동하는 자원관리사가 총 232명 배치된다. 그리고 동절기, 하절기에 따라 변동되었던 정거장 운영시간을 올해부터는 연중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고정 운영한다.

재활용 정거장 운영을 통해 2020년 55%였던 성동구의 재활용품 선별률은 2022년 75%로 상승했다. 2021년 서울시 자치구 공공선별시설 14개소의 평균 선별률 60.1%를 웃도는 수치다.

특히 라벨이 제거된 투명페트병의 경우 처리업체로부터 최상 등급의 품질로 인정받아 판매단가가 지난해 하반기 606원/㎏으로 책정됐다. 정거장을 통해 자원회수센터로 수거된 각종 재활용품 판매수익 역시 지난해 약 19억5000만원으로 2021년 약 12억9000만원 대비 51% 증가했다.

성동구 관계자는 “예전에는 주택가 집 앞에 재활용품이 무분별하게 배출되었으나, 정거장 운영으로 올바른 배출이 이루어져 선별률이 향상되었고 골목길도 깨끗해졌다”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연일 한파가 이어지는 등 기후 위기에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며 “앞으로도 커피박 재활용, 아이스팩 및 폐봉제원단 재활용 등 다양한 사업추진을 통해 자원순환도시로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