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40년 전 '아일랜드의 거인' 유골, 뒤늦게 새 삶을 찾는다
박물관 전시 벗어나 의료 연구에 사용될 전망
전시 중인 찰스 번의 유골 [사진 = 아일랜드 왕립내과대학]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생전 거인병을 앓았던 한 남성의 유골이 사후 240년 만에 구경거리 신세를 벗어나 새로운 삶을 찾게 됐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영국 런던의 헌터리언 박물관이 최근 인기 전시품목 중 하나였던 231㎝ 거구 유골을 더는 일반에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전하며, 그 주인공인 '아일랜드의 거인' 찰스 번의 사연을 소개했습니다.

번은 1761년 현재의 북아일랜드 시골에서 말단비대증을 갖고 태어났습니다.

20세이던 1781년 런던으로 건너간 그는 스스로를 '아일랜드 거인'으로 소개하고 자신의 키를 사람들에게 보여줘 큰 돈을 벌고 유명인이 됐으나, 1783년 22세의 이른 나이로 숨졌습니다.

번이 살아있을 때부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유골 확보에 관심을 보였고, 이에 그는 자신이 죽을 경우 시신을 무거운 관에 넣어 바다 아래로 가라앉히는 수장을 치러 줄 것을 주변에 부탁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소망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당시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해부학자였던 존 헌터는 번의 친구들에게 500파운드를 지불하고서는 시신을 빼돌렸습니다.

번의 골격은 얼마 지나지 않아 런던 레스터 광장에 있는 헌터의 저택에서 전시되기 시작했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연간 8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헌터리언 박물관의 대표적인 컬렉션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하지만 고인의 뜻이 뒤늦게 알려지며 유지를 거스르는 유골 전시가 윤리적으로 올바른지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최근 박물관 신탁위원회는 수리 작업으로 5년째 휴관 중인 박물관이 오는 3월 재개관할 때부터 더는 번의 유골을 전시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헌터리언 박물관의 상급기관인 잉글랜드 왕립의과대학(RCS)의 던 켐프 이사는 "역사적으로 벌어진 일과 헌터의 행동은 잘못됐다"며 "번의 해골을 전시에서 빼는 것이 잘못을 바로잡는 시작"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헌터의 유골이 어떻게 처리될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를 고향인 북아일랜드로 돌려보내 매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번의 이야기를 소설로 썼던 작가 힐러리 맨틀은 "이 뼈로 과학이 얻을 수 있는 것은 다 얻었다"며 "그를 영면에 들게 해주는 것이 명예로운 일"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의학계에서는 성장호르몬과 종양 등 거인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를 지속하기 위해 유골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퀸 메리 대학의 마르타 코보니츠 내분비학과 교수는 "연구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