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집트 정부, 우크라 전쟁발 인플레에 빵가격 통제
이집트 카이로의 베이커리 모습. 이집트는 러시아-우크라전 발발 이후 필수재 등의 물건 가격이 치솟는 현상이 나타났다. [로이터 자료사진]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등 영향으로 물가가 치솟는 이집트에서 정부가 국민의 물가 부담을 덜기 위해 값싼 빵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알리 모셸히 이집트 공급부 장관은 16일(현지시간) 치솟는 물가 속에 빵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할인된 가격에 빵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8일부터 시범 공급될 할인된 빵의 가격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90g짜리 한 덩어리 가격을 1이집트파운드(약 42원) 미만으로 책정할 것이라고 모셸히 장관은 설명했다.

모셸히 장관은 “이는 상업적인 빵집들이 중요한 생필품인 빵으로 이익을 부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의도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집트 정부는 이미 1억400만 명의 전체 인구 중 70% 이상에게 주식인 빵을 아주 싼 값에 공급하고 있다.

보조금이 투입되는 빵의 가격은 개당 0.05 이집트파운드(약 2원)로 지난 1977년 이후 올리지 않았다.

이집트 정부는 코로나19 팬데믹 와중에 밀값이 보조금 책정 한도를 넘어서자 지난 2021년 8월 44년 만에 빵값 인상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등 경제 상황을 고려해 무기한 연기했다.

아랍권에서 가장 인구가 가장 많은 이집트는 최대 밀 수입국이기도 하다. 특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산 밀 의존도가 높아서 전쟁 이후 수급불안이 심화했다.

또 이집트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단기 투자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외화 부족 사태를 맞았고, 현지 화폐인 이집트 파운드화 가치는 50% 폭락했다.

이런 가운데 달러화 유출 차단을 위해 정부가 교역용 신용장 발급을 제한한 탓에 생활필수품과 원자재 수입이 막히면서 물가는 가파르게 치솟았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1.9%에 달했다. 모스타파 마드불리 이집트 총리는 지난 14일 시나이반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시민들의 물가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빵과 연료 등 필수재에 대한 보조금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