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금리 못버텨” 슬금슬금 오르는 연체율
금융당국은 건전하다는데
금융지주사들은 위기의식
가려졌던 착시효과 사라져
성장보다 리스크관리 우선

“버는 돈을 지금도 다 갚고 있는데, 8% 이자를 어떻게 감당하죠?”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이자 갚기가 버거운 이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자랑했던 금융사도 표정이 바뀌었다. 은행·카드 연체율이 슬금슬금 오르면서다.

한 금융지주는 최근 경영전략 포럼에서 “연말 결산이 끝나진 않았지만, 연체율이 문제”라며 “은행 연체율이 11월 말까지 꽤 올랐고, 카드 연체율은 그보다 더 심각하다”며 대책 수립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출만기 연장 등 정부 정책에 가려졌던 연체율 착시효과가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한 두 차례 더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금리 하락 전환에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은행·카드사 동반상승=각 금융지주사가 발표한 경영실적(작년 9월말 기준)에 따르면 은행, 카드사의 연체율이 대부분 상승했다. 연체율은 신한은행 0.2%, 우리은행 0.19%, 하나은행 0.18%, 국민은행 0.14%였다. 2021년말 대비 같은 수치를 유지한 우리은행을 제외하곤 0.01~0.02%포인트씩 상승했다.

카드사도 다르지않다. 지난해 3분기 말 연체율은 우리카드 0.92%, 신한카드 0.86%, KB국민카드 0.78%로 집계됐다. 신한카드, 우리카드는 직전년도 말에 비해 연체율이 각각 0.06%포인트, 0.26%포인트씩 상승했다.

연체율만 보면 높은 수준은 아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정부가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상환유예 조치를 해온 덕에 부실 가능성을 이연시켰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체율 추이 자체가 건전성을 해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며 “금융환경 악화로 인한 잠재부실을 막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쌓도록 유도해오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했다.

▶9% 신용대출, 가처분소득 축소=문제는 최근 연체율을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정부 정책이 올라갔어야 할 연체율을 꾹 잡아둔 것”이라며 “하나 둘 연체율이 올라가고 있어 추이를 어떻게 관리할지가 올해 과제가 되는 중”이라고 했다.

각 금융지주는 연체율을 경영전략회의에서 직접 언급하며 중점 과재로 올려 놓았다. 연체율 착시효과를 계속 누리기 어렵다는 전망 때문이다.

은행권 대출 취급 끝자락에 있다고 하는 신용등급 신용대출 금리는 이미 연 9%에 육박한 상태다. 대부분의 은행에서 1년 전에 비해 상하단 금리가 2%포인트 이상 뛰었다. 은행이 정부의 대출금리 인상 자제 압박에 인상폭을 억누르고는 있지만, 금리 상승 자체를 막을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기에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처분소득 축소 압박도 가중되고 있다. 13일 열리는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기준금리를 0.25bp(1bp=0.01%포인트) 추가로 올리는 베이비스텝이 전망되는 만큼 시장금리 인상도 불가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 기업 할 것 없이 금리 부담이 수년째 가중 되는 상황인데 연체율까지 오르고 있는 만큼 부실 현실화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며 “올해도 각종 취약차주를 위한 정책이 쏟아지고는 있지만 근본적인 부분이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당분간 고통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은 기자

luck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