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견기업 올 1분기 경기 더 나빠질 것”
산업부, 620社 대상 경기전망조사
1Q전망지수 93.4...전분기比 1.5p↓
자동차 빼곤 전 업종 부정적 더 늘어

중견기업들이 올해 1분기 경기가 지난해 4분기보다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중견기업들은 경기 전반과, 수출, 내수, 생산 등 실물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전망을 한 가운데 제조업 전망은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경기를 어둡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견기업 620개사를 대상으로 경기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1분기 경기 전반 전망지수는 직전 분기(94.9)보다 1.5포인트 하락한 93.4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지수가 기준점인 100을 넘으면 전분기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많다는 것을 뜻하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경기전망이 100을 밑도는 가운데 전분기보다 부정적 전망이 더 늘어난 셈이다.

제조업 경기 전망 지수는 작년 4분기보다 2.5포인트 하락한 90.5로, 자동차를 제외한 모든 업종의 전망이 부정적이었다. 자동차(100.7)는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호조로 0.7포인트 올라 기준선을 웃돌았지만, 전자부품(99.2), 화학(79.6) 등은 모두 100 아래였다.

비제조업 경기 전망 지수는 96.5로 전분기와 같았으나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주택 가격이 급락하고 있는 부동산(88.6) 부문의 경기전망 지수는 3.9포인트 하락하면서 90을 밑돌았다.

수출 전망 지수는 96.7로 직전 분기(96.2)보다 소폭(0.5포인트)올랐지만 여전히 100을 밑돌았다. 특히 중국 제조 공장 폐쇄의 영향으로 화학(85.5) 업종 수출 전망은 대폭(12.1포인트) 하락했다.

내수 전망 지수는 전 분기보다 1.7포인트 하락한 94.9였다. 자동차(105.4)는 반도체 수급난 해소의 영향으로 긍정적인 전망을 나타냈지만, 나머지 모든 업종은 100 아래였다. 중견기업의 영업이익(93.0)과 자금사정(93.6) 전망 지수도 각각 1.1포인트와 1.5포인트 하락했다.

생산 전망지수는 97.3으로 6분기만에 100 아래로 떨어졌다. 중견기업의 주요 경영 애로 요인으로 제조업은 원자재 가격 상승(53.2%)이, 비제조업은 내수 부진(43.8%)이 가장 많이 꼽혔다.

김홍주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올해 글로벌 공급망 불안,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으로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출 지원, 규제개선, 세제·금융지원 확대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주체인 중견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신성장동력 분야 연구개발(R&D), 중견기업 전용 펀드 조성, 중견기업법 상시화 등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확충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