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4.0%’ 코로나 이후 최대 격감한 외식·여행…고금리 여파 본격화
이태원 참사 등 돌발요인과 함께 고물가 여파 본격화
쇼핑도 사라져…의복·가전·화장품 판매 모두 감소세
수출로 버틴 코로나 사태, 소비가 지탱한 2022년…
내년엔 모두 하방압력, 추경호 “韓경제 ‘상고하저’”
조기집행으로 적극 대응 “상반기 65% 이상 집행”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고물가·고금리 여파가 본격적으로 휘몰아치며 소비가 얼어붙기 시작했다. ‘쇼핑’으로 대표되는 소매판매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고, 외식 등 대면소비도 위축 국면에 들어섰다. 소비심리도 급격히 위축되며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다.

우리 경제는 코로나19 사태 때는 수출, 그 이후엔 소비가 지탱했으나 내년엔 두 요인 모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가 내년초 또다시 인상될 것이 확실시되면서 복합 경제위기가 내년 상반기에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숙박·음식점 생산은 전월 대비 4.0%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은 대표적인 대면소비 지표다. 코로나가 여파가 남아있던 지난해 12월(-10.9%)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벌써 2개월 연속 감소다. 예술·스포츠·여가도 5.0%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식점 및 주점업 생산이 지난달과 비교해 3.5% 줄었다. 숙박업은 7.5% 격감했다. 숙박업은 지난 8월(-1.4%)부터 꺾이기 시작해 벌써 4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외식·여행 경기가 위축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태원 참사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됐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태원 사고 영향을 정량적으로 따질 수는 없으나, 숙박·음식 등 개인서비스업 생산 부분이 감소했기 때문에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소매판매도 상황이 좋지 않다. 의복 등 준내구재(-5.9%), 가전제품 등 내구재(-1.4%), 화장품 등 비내구재(-0.5%) 판매가 전월대비 모두 줄었다. 올해 8월 4.4%로 깜짝 반등한 이후 벌써 3개월째 위축을 면치 못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와 관련 “소매판매는 내구재 및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큰 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태원 참사 등 돌발 요인과 함께 고물가·고금리도 전반적인 영향을 미쳤다. 물가는 올해 7월 6.3%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그 이후에도 급격한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지 않다. 다음해 1분기에도 상황은 비슷할 전망이다. 전년동월비로 나타나는 물가는 기저효과 영향이 상당부분 존재하는데 올해 1월과 2월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올해 전반에 비해 비교적 낮다.

고물가 현상과 금리인상이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실질소득은 떨어진다. 소비여력이 사라진다는 소리다. 통계청이 발표한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2.8% 감소했다. 3분기 기준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이었던 2009년도 3분기(-3.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실질소득이 줄었다.

인플레이션이 이어지면 금리인상도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고, 자산시장 회복속도와 강도도 더뎌질 수 있다. 금리인상 속도조절론이 대두하고 있고 기획재정부는 경제침체를 걱정하고 있지만, 물가당국 입장은 다를 수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23일 “내년 기준금리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한 셈이다.

소비가 냉각기로 들어서는 가운데 수출 경기도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제조업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재고가 쌓이는 속도를 보면 수출 침체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할 수 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1.4% 늘었다. 재고와 출하 비율인 재고율은 127.6%로 전월대비 4.8%포인트 상승했다. 출하가 3.8% 줄었는데, 재고는 6.2% 늘었기 때문이다.

제조업 가동률지수는 전월대비 0.9% 상승했으나, 호조세라고 보기 어렵다. 98.2%로 여전히 100% 아래다. 특히 수출 주력인 반도체에선 오히려 12.0%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3.1%에 불과하다.

기재부는 “수출 감소세 지속, 반도체 재고누적,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 여파 등이 향후 부담 요인”이라며 “규제혁신, 재정․금융 지원 등을 통해 수출․투자 등 민간활력을 제고하고, 신성장 4.0 전략 등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소비와 수출, 성장의 두 축이 모두 휘청이면서 내년 경제는 상반기 큰 위기를 맞을 전망이다. 정부는 이에 상반기에 재정 집행을 집중해 경기 위축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내년 우리 경제가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적극적인 경기 대응을 위해 상반기 중 역대 최고수준인 65% 이상 신속히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