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내년 물가상승률 3% 중반 전망”…통화정책 ‘물가 중점’
물가상승률 목표치 상회 지속 예상
“점검 강화…시장 안정화 조치 적기 시행”
[제공=한국은행]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한국은행이 내년에도 성장보다 물가에 방점을 두고 긴축 기조를 이어나갈 방침이다.

한은은 23일 발표한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에서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수준(2.0%)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이라며 “기준금리는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중반, 근원물가 상승률은 2%대 후반으로 전망하면서도 국내외 경기 둔화폭, 주요국 통화 정책,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누증된 비용 상승 압력의 전가 정도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봤다.

이에 최종 기준금리 수준이나 유지 기간 등은 물가 흐름과 경기, 금융·외환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경기 둔화, 국내외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부진 등 대내외 여건 변화로 잠재위험 요인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유의해 금융시장과 금융시스템 점검을 강화하고, 필요 시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할 계획이다.

시나리오별 대응 계획을 지속 점검해 시장 불안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고, 대출 적격담보증권·공개시장운영 대상증권·차액결제이행용 담보증권의 확대, 단기금융시장안정 및 채안펀드 출자 금융기관 지원을 위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등 현재 시행중인 조치는 지원 효과와 단기금융시장 회복 정도 등을 점검하면서 연장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가계부채 리스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신용 리스크 증대 등을 다각도로 점검하는 한편, 중장기적인 가계부채 구조 개선 및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에 대한 건전성 관리 방안 등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외환시장의 변동성 재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취약 요인을 점검하고, 환율의 과도한 쏠림 현상에 대해선 안정화 조치로 대응할 방침이다.

대외 충격 흡수 능력 제고를 위해 만기 도래 통화스왑 연장, 주요국 중앙은행과의 금융 협력 등을 추진한다.

기후변화 관련 정책적 대응을 강화하고, 외화자산 운용 시 친환경 부문 투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중개지원대출은 중소기업 자금 지원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 프로그램 및 총한도 조정, 지역별 한도 확대 등 개편에 나선다.

대출 적격담보증권은 유동성 및 가격 변동성을 점검하면서 필요 시 담보인정비율 조정을 검토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 관련 기술적·제도적 연구를 강화하고 다양한 활용 사례를 실험할 계획이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