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상]美 달 궤도 무인우주선 ‘오리온’ 지구 귀환
2800도 고온 견디고 태평양 착수
인류 달 복귀 1단계 임무 완료
미국 달 궤도 무인우주선 오리온이 촬영한 달 표면 [NASA]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우주선 ‘오리온’이 달 궤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돌아왔다. 이로써 미국은 반세기만의 인류 달 복귀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임무에서 첫 번째 단계를 완료했다.

11일(현지시간) NASA는 이날 오리온이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인근 태평양에 착수(着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미 해군 함정과 헬리콥터, 소형 보트 등은 오리온 착수 시간에 맞춰 회수 작업에 나섰다.

오리온의 귀환은 지난달 16일 우주발사시스템(SLS) 로켓에 실려 발사된 이후 25일 만이며 아폴로 17호가 1972년 12월 11일 달 표면에 도착한 지 정확히 50년이 되는 날에 이뤄졌다.

오리온은 이날 음속의 32배인 시속 2만5000마일(약 4만㎞)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했다. 새로운 첨단 방열판을 장착한 이 우주선은 대기권 돌파 시 태양 표면 온도의 절반 가까이 되는 섭씨 2800도까지 치솟았지만 이를 견뎌낸 뒤 낙하산을 펴고 해수면에 도달했다.

[NASA 제공]

NASA는 “오리온의 하강과 착수 과정이 완벽에 가까웠다”고 자평했다.

오리온의 대기권 진입은 이번 임무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다. 특히 새 방열판이 향후 유인 비행에서 우주비행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성격이 크다.

오리온은 이번 비행에서 실제 우주비행사를 본떠 인체와 비슷한 물질로 만들어진 마네킹을 태워 장비 안전성 등을 점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앞서 오리온은 궤도 비행 중 달 표면 80마일(약 130㎞) 상공까지 근접하는 데 성공했다.

또 비행사 탑승이 가능한 우주선으로서는 현재까지 지구에서 가장 원거리 비행인 26만8000 마일(43만2000㎞) 지점에 도달하기도 했다.

NASA는 아르테미스Ⅰ 성과를 토대로 2024년에는 달 궤도 유인 비행(아르테미스Ⅱ)에 도전할 예정이다. 이어 이르면 2025년 인류 최초의 여성과 유색인종 우주비행사를 달 남극에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Ⅲ 임무에 착수한다.

NASA는 이를 통해 우주비행사가 상주할 수 있는 달 기지와 우주정거장을 건설해 달 자원을 활용하고 심(深)우주 탐사 기술을 개발, 궁극적으로 화성 유인 탐사에 활용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아르테미스Ⅰ 임무 완수와 관련해 “특별하고 역사적인 날”이라며 “이제 우리는 새로운 세대와 함께 심우주로 돌아간다”고 말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