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침체보다 인플레가 더 무섭다…긴축 강조하는 IMF·OECD
국내 연구기관과 물가전망서 차이…긴축 연일 권고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우리나라가 통화·재정 긴축기조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조언이 국제기구들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국내 연구기관 및 정부가 경기침체를 강조하는 것과는 일부 결이 다르다. 경기침체 우려는 곧 금리인상 속도조절론, 즉 긴축 정책 폐기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10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비토르 가스파르 국제통화기금(IMF) 재정국장은 지난 6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국민경제자문회의·KDI 국제콘퍼런스'에서 "재정여력 확보 및 재정준칙 준수를 통한 긴축적인 재정운용 유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 상승 및 국가채무 확대 속도, 경제기반 약화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고려해야 한다"며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간의 조합을 일관된 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이 신뢰성을 높여 물가안정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비슷한 권고를 했다. 고물가 대응을 위한 각국의 금리 인상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며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당분간 긴축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재정을 긴축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욘 블론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관리·예산국장은 지난 6일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 연구기관 정책권고와 일부 결이 다르다. KDI는 경기가 지나치게 위축되지 않도록 완만한 속도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 부채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 시장금리가 빠르게 상승할 경우 내수 경기가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근본적인 이유는 물가 상황에 대한 분석 차이다. 국제기구가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상황을 좀 더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 KDI와 OECD가 예상한 다음해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3.2%, 3.9%다.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두 기관 모두 1.8%로 같은데,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0.7%포인트나 차이가 난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