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문] 尹대통령 “2026년 수출 5대 강국 도약…모든 역량 결집”
제59회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저도 수출 최일선서 뛰겠다”
“복합위기, 수출이 돌파구…올해 사상 최고 수출실적 달성 눈앞”
“정상외교, 수출 촉진에 초점…원전·방산·인프라, 새 주력산업”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5일 “정부는 2026년 수출 5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모든 수출지원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에서 “저도 여러분과 함께 수출 최일선에서 같이 뛰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고(高)물가, 고환율, 고금리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지만, 올해 우리는 큰 수출 성과들을 달성했다”며 반도체·석유제품·원자력발전·방위산업·농수산식품 분야의 수출 실적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특히, 세계 수출순위가 지난해 7위에서 6위로 상승했고, 올해 6800억달러가 넘는 사상 최고의 수출 실적 달성을 앞두고 있다”며 “제가 만난 많은 해외 정상들도 우리의 첨단산업에 큰 관심을 갖고 우리 기업들과의 협력을 요청해왔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수출은 늘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고, 수출이야말로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일자리의 원천”이라며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역시 수출로 정면 돌파하며 위기를 극복했듯이 복합의 글로벌 경제 위기도 수출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세계 수출 5강 도약을 위한 세리머니를마친 뒤 박수치고 있다. [연합]

구체적인 정부의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제가 직접 주재하는 ‘수출전략회의’와 함께 ‘원스톱 수출·수주 지원단’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수주와 관련된 어려움을 신속히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무역금융, 마케팅, 물류 등 수출 활동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해 수출 저력이 있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 적극 진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또, “정상 외교는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회”라며 “앞으로 정상 외교가 철저히 우리 기업의 수출 촉진과 해외 진출에 초점을 맞춰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집트, 폴란드, 사우디 등에서 우리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확인한 원전, 방산, 인프라 건설, K-콘텐츠를 우리의 새로운 주력 수출 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겠다”며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와 같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 지역과는 신규 자유무역협정(FTA)를 추진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3월, 무역협회에서 만난 청년 무역인들의 목소리도 잊지 않고 있다”며 “무역과 물류의 디지털화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 청년들이 무역 현장의 최일선에서 꿈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9회 무역의날 기념식에서 정경오 희성피엠텍 대표에게 금탑산업훈장을 수여하고 있다. [연합]

다음은 윤 대통령의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 전문이다.

〈윤석열 대통령 ‘제59회 무역의 날 기념식 축사’ 전문〉

자랑스러운 무역인 여러분,

어려운 수출 여건 속에서도

수출 강국을 만들어 가시는 데 정말 애 많이 쓰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수출 유공 포상’과 ‘수출의 탑’을 수상하신

무역인 여러분께 다시 한번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

무역인 여러분,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로

글로벌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만

올해 우리는 큰 수출 성과들을 달성했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17개월 연속으로 매달 100억 불을 기록했고,

석유제품 수출도 7개월 연속 50억 불을 달성하며

역대 최고의 실적을 경신했습니다.

3조 원 규모의 이집트 엘다바 원전 사업을 수주하고,

폴란드와 124억 불에 달하는

대규모 방산 수출 계약을 성사시킴으로써

방산 수출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170억 불을 달성했습니다.

농수산식품 수출도 2년 연속 매년 100억 불이 넘어서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특히, 세계 수출순위가 지난해 7위에서 6위로 상승했고,

올해 6,800억 불이 넘는 사상 최고의

수출 실적 달성을 지금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제가 만난 많은 해외 정상들도

우리의 첨단산업에 큰 관심을 갖고 있고

우리 기업들과의 협력을 요청해 왔습니다.

이러한 결실은 우수한 기술력과 도전 정신으로

세계 시장을 개척해 온 여러분들의 땀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입니다.

다시 한번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무역인 여러분,

제가 수출전략회의를 주재하며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수출은 늘 우리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이고,

수출이야말로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일자리의 원천입니다.

1970년대 오일쇼크 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역시

수출로 정면 돌파해서 극복했습니다.

이제 글로벌 복합 위기도

수출에서 그 돌파구를 찾아야 합니다.

정부는 2026년 수출 5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모든 수출 지원 역량을 결집할 것입니다.

제가 직접 주재하는 ‘수출전략회의’와 함께

‘원스톱 수출·수주 지원단’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수주와 관련된 어려움을

신속하게 해결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무역금융, 마케팅, 물류 등

수출 활동에 필요한 지원을 대폭 확대할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수출 저력이 있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는 도울 것입니다.

대통령이 하는 정상 외교는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뒷받침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앞으로 이러한 정상 외교가 철저하게 우리 기업의

수출 촉진과 해외 진출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지도록 할 것입니다.

이집트, 폴란드, 사우디 등에서

우리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확인한

원전, 방산, 인프라 건설, K-콘텐츠 등 이런 것들을

우리의 새로운 수출 주력 산업으로서

적극 육성해야 합니다.

중동, 중남미, 아프리카와 같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시장 지역과는

신규 FTA를 추진해서 우리의 FTA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해 나가겠습니다.

올해 3월, 무역협회에서 만난

청년 무역인들의 그 목소리를 지금도 잊지 않고 있습니다.

무역과 물류의 디지털화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해서

청년들이 무역 현장의 최일선에서

꿈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정부는 돕겠습니다.

자랑스러운 무역인 여러분,

대한민국의 수출은 숱한 위기 속에서도

성장과 도약의 역사를 써 왔습니다.

여기 계신 여러분이 바로 그 주역입니다.

정부는 무역인 여러분이 세계 전역에서

힘껏 뛸 수 있도록 늘 함께하겠습니다.

저도 여러분과 함께 수출 최일선에서

같이 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5일

대한민국 대통령 윤석열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