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화물연대 파업, 북핵 위협과 마찬가지”…정유·철강 업무명령 ‘초읽기’
尹대통령, 5일 국가조찬기도회서도 ‘법과 원칙’ 강조
‘불법·폭력과 절대 타협 없다’ 강경대응 기조 재확인
정유·철강도 업무명령 준비 완료…“필요시 즉시 발동”
민노총 총파업 예고한 6일 국무회의, 발동 여부 ‘주목’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제54회 국가 조찬기도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집단 운송 거부 사태를 겨냥해 “북한의 핵 위협과 마찬가지”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5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최근 참모들과의 비공개회의에서 “핵은 안 된다는 원칙에 따라 대북정책을 펴왔다면 지금처럼 북핵 위협에 처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노사 법치주의’를 내세우며 거대 강성노조의 불법·폭력행위와의 타협은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 셈이다.

윤 대통령이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 서울파르나스에서 열린 ‘제54회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법과 원칙’을 내세운 것도 같은 맥락이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자유와 연대의 정신이 살아 숨 쉬고 법과 원칙이 바로 서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그것이 우리 사회의 진정한 약자들을 보듬는 길이고 복합위기를 극복해나가는 길”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특히, “불법행위와 폭력에 굴복하면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며 노조 지도부가 조합원의 업무복귀를 방해하거나 위협하는 행위를 엄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휴일인 전날 주재한 관계장관 대책회의에서도 “현재 진행 중인 집단 운송 거부뿐만 아니라, 정상 운행을 방해하거나 위협하는 행위, 사후적으로 정상 운행 차주에게 보복하는 행위는 모두 법을 위반하는 범죄행위”라며 “정부는 조직적으로 불법과 폭력을 행사하는 세력과는 어떠한 경우에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재차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은 시멘트 운송에 이어 정유, 철강 분야에 대한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예고하며 ‘강경 드라이브’를 이어가는 상태다.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 여부는 이르면 6일 국무회의에서 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6일은 민노총이 총파업을 예고한 날인 만큼 추가 업무개시명령이 발동되면 노-정 사이 대치는 더 극단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관계장관들에게 “정유, 철강 등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은 즉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화물운전자 대체인력의 확보, 군 인력과 장비의 활용 등 대체 수단을 신속히 확보해 산업 피해가 최소화되게 해주시기 바란다”며 “기업과 국민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강구해주시기 바란다”고 지시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역시 프랑스 등 순방에서 귀국한 직후인 이날 오전 경기 고양 저유소를 찾아 휘발유, 경유 등 국내 석유제품 출하현장을 점검했다. 정부는 추가 업무개시명령 발동 준비가 완료됐다며 “필요 시 즉각적인 발동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화물연대 집단 운송 거부가 12일차에 접어들며 시멘트, 철강 등 주요 업종의 출하 차질이 3조원 규모에 달하고, 전국의 품절 주유소도 4일 기준 74곳으로 파악하고 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