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위 20%만 나홀로 소득 감소 ‘-1.0%’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전체 가계 중 하위 20%(1분위)만 소득이 감소했다. 코로나19 지원금이 올해 지급되지 않으면서 생겨난 현상이다. 하위 20%와 상위 20%(5분위) 간 소득 격차는 5.75배를 나타냈다. 1년 전 5.34배보다 0.41배 포인트 커졌다.

통계청은 17일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3분기 중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3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의 소득은 3.0% 증가했다. 특히 가장 부유한 5분위 가구의 소득은 3.7% 증가, 5개 분위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1분위의 경우 근로소득이 21.1%, 사업소득이 22.5% 늘었지만 공적 이전소득이 15.3% 감소한 여파가 컸다. 전체 소득에서 공적 이전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40%를 넘는 이들 계층에는 정부가 지급하는 각종 지원금이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

비교 시점이 되는 지난해 3분기에 정부는 국민 88%를 대상으로 1인당 25만원씩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을 지급한 바 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100만원에 달하는 지원금이 올해는 지급되지 않다 보니 소득 하위 가구에서는 1년 전 대비 소득 감소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1분위에서만 나타난 소득 감소 현상은 곧 분배의 악화를 의미한다. 3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75배를 기록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눈 후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를 보는 지표다.

단 지원금 등 공적 이전을 제외한 시장소득으로만 산출한 5분위 배율에선 개선 기미가 감지됐다. 3분기 중 시장소득 5분위 배율은 10.87배로 1년 전 11.93배보다 1.06배 포인트 감소했다.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 등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소득만 봤을 때는 분배 상황이 개선된 것이다.

하위 20% 계층에서 나타난 소득 감소는 가계 지출에도 영향을 미쳤다. 1분위의 가계지출 증가율은 4.5%를 기록, 5개 분위 중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24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5.7% 늘었다. 전체 가구의 소비지출 증가율인 6.2%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1분위 가구가 지출을 가장 많이 줄인 분야는 주류·담배(-8.2%)다. 교육 분야엔 지출을 46.9%나 늘렸다.

5분위는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을 11.8% 줄였다. 외부 활동을 늘린 결과로 분석된다. 대신 오락·문화 분야 지출을 32.2% 늘렸다.

소득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22.4%), 주거·수도·광열(15.9%), 보건(13.1%) 순이다. 이에 비해 소득 5분위 가구는 음식·숙박(16.4%), 교통(13.6%), 식료품·비주류음료(12.6%) 순이다.

1분위의 경우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이 월평균 -34만3000원을 기록했다. 5분위는 344만9000원이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