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중 갈등 속 한중 관계도 긴장…“소통 강화” 이면엔 밀착 한미 ‘견제’
양국 소통·협력 공감대 이뤘지만…習 “정치적 신뢰” 강조
北역할 당부한 尹에 “韓이 적극적으로”…3년 전과 다른 톤
“경제협력 汎안보화 반대해야”…칩4·3국 경제안보대화 견제
미중 갈등·北도발 속 한중 관계 긴장 고조…中 리스크 현실화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발리)=정윤희 기자, 최은지 기자]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처음이자 양국 관계에서는 3년여 만에 열린 한중 정상회담은 25분간 짧은 시간 동안 곳곳에서 긴장 관계인 현실을 나타냈다. 한국의 입장에선 북한의 전례 없는 도발 상황에서 북한의 최대 우방국인 중국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중국의 입장에선 미중 갈등 구도에서 안보를 넘어 경제 분야까지 미국과 밀착하는 한국을 견제해야 한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15일(현지시간) 열린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관계 재정립 필요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양측 모두 소통과 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했지만,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고위급 대화의 활성화를 통해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정치적 신뢰를 쌓아가자”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한미동맹 강화 행보가 중국의 이해를 해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순방에서 자체 인도태평양 전략을 발표하고, 한미일 정상의 ‘프놈펜 성명’에서 미국 주도의 중국 견제 행보에 동참한다는 의사를 보다 명확하게 한 윤 대통령은 “보편적 가치와 국제 규범”에 기반한 외교 기조를 설명했다. 시 주석은 모두발언에서 “진정한 다자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하며 한미일 밀착 행보를 견제했다.

북한의 고강도 도발 문제는 과거에도 양국 관계의 핵심 의제였지만, 이번에는 앞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지면서 미중 갈등의 한복판으로 떠올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 주석에게 북한을 고리로 미군 전력을 증강하겠다고 밝힌 것은 중국 입장에서는 예민할 수밖에 없는 문제다. 이런 가운데 윤 대통령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시 주석은 이에 대해 “한중 양국이 한반도 문제에 공동이익을 가진다”며 “평화를 수호해야 하고, 한국이 남북관계를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강조한 것이다. 윤 대통령의 대북정책 로드맵 ‘담대한 구상’에 대해서는 “북한의 의향이 관건”, “북한이 호응해 온다면”이라고 전제를 달았다. 3년 전 “중국과 한국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과 이익이 일치한다”며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한 한국의 대북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힌 것과 사뭇 달라진 톤이다.

특히 시 주석은 “경제 협력을 정치화하고 범(汎)안보화하는 데 반대해야 한다”며 “글로벌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전과 안정, 원활한 흐름을 함께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반도체 등 핵심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디커플링)하려는 움직임에 한국이 동참하지 말라고 강력한 경고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주도의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협력체 ‘칩4’에 동참하는 수순인데다 한미일이 ‘3국 경제안보대화’를 신설하기로 한 것을 견제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양국의 긴장관계와 중국 리스크는 이번 정상회담으로 더욱 선명해졌다. 중국은 미중회담과 마찬가지로 한중회담 결과에서도 북핵 문제는 담기지 않았다. 우리측 결과문에서는 경제협력의 정치화와 범안보화에 반대한다는 시 주석의 발언이 빠졌다. 논란이 된 시 주석 방한 문제와 관련해서도 평행선을 달렸다. 시 주석은 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면 방한 초청에 응할 것이며, 편리한 시기에 윤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달라고 말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