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중·러 면전서 “우크라 침공, 국제법 위반…남중국해 긴장 고조 자제해야”
순방 3일차, 프놈펜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참석
“인·태 평화, 北비핵화 전제돼야…국제사회 단호히 대응”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프놈펜)=정윤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오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제17차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에 참석해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제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가 단호한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남아 순방 중인 윤 대통령은 순방 3일차인 이날 프놈펜에서 개최된 EAS 회의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의 자유, 평화, 번영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해 나가겠다”며 우리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토대로 주요 지역 및 국제문제에 관한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

EAS는 동아시아 역내의 주요 안보현안을 논의하는 전략적 성격의 포럼이다. EAS 회원국은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호주, 뉴질랜드 등 18개국이다. 미얀마는 유혈사태로 불참했고 러시아의 경우 외교장관이 대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순방 첫날인 지난 11일(현지시간)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한국판 인도태평양 전략’을 언급하며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는 자유로운 인도태평양을 지향한다”며 “역내 자유, 인권, 법치와 같은 핵심 가치가 존중돼야 하며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은 용인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윤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국제법 위반이나 우크라이나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규정하고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 및 정치적 독립이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고 했다. 또,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리의 인도적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최근 미얀마 내 민주주의 후퇴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으며 “미얀마에서 자유와 민주주의가 다시 꽃필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한 아세안의 노력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며 “우리도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바탕으로 미얀마 국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를 존중하는 평화로운 인도․태평양을 추구한다”며 국제법 원칙에 기초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이 철저하게 준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대통령은 “남중국해는 규칙 기반의 해양 질서를 수호하는 평화와 번영의 바다가 돼야 한다”며 “유엔 해양법 협약을 포함한 국제법의 원칙에 따라 항행 및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하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는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

특히,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평화로운 인도․태평양을 위해서는 북한의 비핵화가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우려와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ICBM을 재차 발사하거나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국제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동시에 “북한과의 대화의 문은 늘 열려 있으며 북한이 비핵화에 나선다면 ‘담대한 구상’에 따라 전폭적인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재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윤 대통령은 “번영하는 인도․태평양을 구현하기 위해서 개방적이고 호혜적인 협력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역내 무역과 투자를 증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한국은 디지털 혁신 모범국가로서 아세안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적극 협력할 것”이라며 “기후변화 대응, 보건 역량 강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우리의 기여 외교를 대폭 확대해 나감으로써 상생과 공영의 가치를 나누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EAS 정상회의에 이어 이날 오후 한일, 한미, 한미일 정상회담을 연달아 갖는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