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껄끄러운 경고장 날린 美…시진핑, 北핵실험 반대할까
14일 발리서 미중정상회담
대만·북한 핵이슈 연계 주목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연합]

[헤럴드경제]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국이 북한 핵문제에 대응하는 카드로 ‘역내(동아시아) 군사력 투사 강화’를 꺼내 들면서 중국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과 공세적 핵 위협 등으로 미국 정치권의 분위기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11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14일 발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할 때 북한발 위협을 거론할 것이라며 “북한이 계속 이런 길을 걸으면 역내 미국의 군사 및 안보 존재(security presence)를 더 강화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는 점을 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최악의 행동을 제지하는 데 건설적인 역할을 하는 게 중국의 이해관계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제7차 핵실험이 임박한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미군의 동북아 보폭 확대를 경계해 온 중국을 통해 북한의 도발을 저지해 달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하더라도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보리 차원의 추가 대북 제재에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중국이 고도로 민감하게 여기는 부분을 건드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그렇지 않아도 최근 북한발 위협 대응을 명분으로 한미일 안보 공조가 심화하고, 한국 일각에서 미국 전술핵 재배치 또는 자체 핵무장 주장이 제기되는 상황을 예의주시해왔다.

최근 3연임 임기를 시작한 시 주석이 북한과의 관계를 감안해 미국의 압박을 일축할지, 대만 문제와 연결된 향후 미중관계를 원만히 풀어가기 위해 북한 핵실험에 반대하고 대북 ‘건설적 역할’을 약속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지난 4일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의 회담 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핵무기 사용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는 점에 주목,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그간의 대북 옹호 태도와는 다른 입장을 피력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내 놓는다.

만약 중국이 일종의 ‘중재자’ 역할을 하려 한다면 지난달 열린 당 대회 결과 설명을 위한 특사단의 방북이 중국의 대북 메시지 전달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예상이 존재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