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일정상회담 확정…尹 내일 한일→한미→한미일 연쇄회담 [종합]
각 30분 안팎 정상회담…北도발 관련 안보협력 주요 의제
한미 양자회담서 IRA 논의도 주목…“尹, 어떤 형태로든 언급”
한중 정상회담 개최 여부 미지수…양국 당국자 “지켜봐달라”

윤석열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오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프놈펜)=정윤희 기자]윤석열 대통령은 동남아 순방 사흘차인 오는 13일(현지시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다. 한일 정상이 만나는 것은 지난 9월 유엔 총회 당시 미국 뉴욕에서 약식회담을 가진 지 2개월 만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12일 오후(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의 현지 프레스룸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일 정상회담은 방금 전에 확정이 됐다”며 “제가 메모를 전달 받았는데 내일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아마 (정상회담) 순서는 가변적일 수 있지만, 한일→한미→한미일 순서로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각 정상회담 시간은 대략 30분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미 양자, 한미일 3개국 정상회담은 13일 개최가 확정된 상태였다.

한일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공조 대응, 안보협력 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양 정상 모두 한일 간에 긴밀한 소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현안 문제에 대한 해결 차원을 넘어서 최근 북한의 도발이 보다 빈번해지고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는 상황”이라며 “한미일 정상회담이 (한·일 정상회담의) 일종의 추동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뉴욕에서 ‘약식회담’ 형식의 회담을 가진 것과 관련해서는 “(양 정상이) 한일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공감을 했다”며 “(이번 한일 정상회담의) 형식은 공히 ‘한일 정상회담’에 합의한 상태”라고 부연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한 빌딩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를 마친 뒤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

같은 날 진행되는 한미 양자회담과 한·미·일 정상회담 역시 북핵 대응을 위한 안보협력에 초점을 맞출 전망이다. 아울러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관련한 진전될 논의가 있을지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IRA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그 문제에 대해 얼마나 구체적으로 말씀하실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힘든 상태”라면서도 “윤 대통령은 어떤 형태로든 그 문제를 제기하시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월 뉴욕에서 윤 대통령과 환담 당시 “IRA에 대한 한국측의 우려를 잘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내일 한미 정상회담은 북핵 문제에 한미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최근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상당한 확장억제 강화 조치가 이뤄진 것의 연장선상에서 한미 간에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지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설명헀다.

이날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언급한 동북아 지역 미군 주둔 증가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아마 미군 증강이 아니고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와 관련해서 보다 적극적인 조치들을 얘기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설리번 보좌관은 바이든 대통령을 태우고 캄보디아로 향하는 에어포스원 기내브리핑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에서 시 주석에게 북한이 미국이나 한국, 일본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에 위협이라는 점을 말할 것”이라며 “북한이 계속 이런 길을 걸으면 지역에 미국의 군사 및 안보 존재(military and security presence)를 더 강화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는 점을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는 15~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는 “계속 지켜봐주셔야 할 것 같다”고 여지를 남겼다. 앞서 중국 외교부 당국자 역시 “현재 발표할 소식이 없다”면서도 “계속 지켜보라”고 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