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만 내면 유명인 사칭 가능한 트위터 서비스, 논란 끝에 중단
[연합]

[헤럴드경제] 트위터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인수된 뒤 내놓은 유료 계정 서비스 ‘트위터 블루’가 잇단 계정 사칭으로 논란이 된 가운데, 결국 서비스를 중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이날 애플 운영체계 iOS 앱에서 트위터 블루 구독이 사라졌으며 트위터 웹사이트에 11월 9일 이후 개설된 계정은 ‘트위터 블루’를 구독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게시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트위터는 앞서 기존 인증받은 유명인 계정 등에만 달아주던 ‘블루 체크’ 표시를 월 7.99달러(1만500원)를 낸 계정에 신원확인 절차 없이 허용하는 ‘트위터 블루’ 서비스를 내놨다. 이후 ‘트위터 블루’가 돈만 내면 계정을 사칭할 수 있게 해준다는 논란이 일자, 트위터는 새 블루 표시와 구분이 가능하도록 회색 ‘공식 계정’ 표시를 도입했다가 철회하는 등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트위터가 ‘트위터 블루’를 중단한 것은 기업과 브랜드, 유명인을 사칭하는 계정들이 실제로 나타나 트위터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계정 사칭 사례는 제약사 일라이릴리와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미국프로농구(NBA) 스타 르브론 제임스 등 다양하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으로 ‘블루 체크’를 받은 계정은 이라크인들을 공격하는 글을 올렸고, 르브론 제임스를 사칭한 계정은 트레이드를 요구하는 글을 올렸다. 두 계정 모두 실제 부시 전 대통령, 르브론 제임스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약사 일라이릴리로 ‘블루 체크’를 받은 계정은 당뇨 환자들의 필수의약품인 인슐린을 무료로 공급한다는 글을 올려 실제 일라이릴리사가 긴급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인슐린 공짜’ 트윗은 일라이릴리 측이 가짜뉴스라는 것을 밝히기 전까지 ‘좋아요’를 수천 건 받았다.

이밖에 석유회사 BP PLC와 인형회사 아메리칸 걸, 바나나 업체 치키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 게임업체 로블록스와 닌텐도 등을 사칭한 계정들도 ‘트위터 블루’를 통해 새로 ‘블루 체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