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킹달러’에 브레이크 걸지 않는 미국…주요교역국 ‘역환율 전쟁’ 용인 시사
美 재무부 11월 환율보고서 발간
“强달러, 연준-타중앙은행 긴축 속도 차이 탓”
환율관찰 대상국은 한국·일본·중국 등 7개국

미국 재무부는 한국, 일본 등 미 주요 교역국의 최근 외환시장 일부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시사했다고 블룸버그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잡으려고 기준금리를 급격히 인상한 탓에 ‘강(强)달러 현상’이 불거져 주요국이 통화가치 방어 차원에서 외환을 매도한 시장 개입을 인정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 관리는 이날 ‘거시경제와 미 주요 교역국의 환율정책’ 반기 보고서(환율보고서)를 발표한 뒤 기자들과 전화 브리핑에서 “달러 강세는 주로 미 경제 펀더멘털, 연준과 다른 국가 중앙은행간 긴축 속도 차이와 관련이 있다”면서 “여러 국가가 직면한 현 상황을 감안할 때 시장 개입이 정당화되는 시기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성명에서 “특정 상황에선 개발도상국과 신흥국이 세계 경제 역풍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식이 정당화될 수 있는 점을 재무부가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으로선 자국 인플레이션을 잡는 게 급선무이기 때문에 이른바 ‘킹달러’ 현상에 브레이크를 걸지 않고, 다른 나라의 ‘역(逆) 환율 전쟁’도 일정 부분 용인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재무부는 이번 환율보고서에서 중국, 일본, 한국,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7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에 넣었다.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엔 이들 7개국을 포함해 12개국이 관찰대상국이었는데 수가 줄었다. 이탈리아, 인도, 멕시코, 태국, 베트남 등 5개국을 제외했다.

일본은 추락하는 엔화 가치를 방어하려고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 9월 시장 개입을 했다. 미 재무부 관리는 “일본은 주요 7개국(G7)과 협의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일본을 언급한 대목에서 “재무부의 확고한 기대는 적절한 사전협의를 통해 매우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시장개입을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중국에 대해선 환율 관리 체제의 정책 목표, 역외 위안회 시장 활동을 포함한 환율 매커니즘의 주요 특징과 관련해 매우 제한적인 투명성을 제공한다고 비판했다. 홍성원 기자

ho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