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플레 둔화, 비트코인 붕괴 막아…FTX, 13조원 자금수혈 논의 ‘안간힘’
샘 뱅크먼-프리드 최고경영자, 트론 창업자 등에 자금지원 요청
비트코인 1만7000달러…“인플레 둔화 신호가 가상화폐 가격 띄워”
[로이터]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유동성 위기로 가상자산거래소 FTX 파산 위기에 봉착하자 급속도로 붕괴 조짐을 보이던 가상자산의 대표 비트코인이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 조짐에 힘입어 1만7000달러선을 다시 회복했다.

FTX는 파산을 막기 위해 13조 원에 가까운 자금 수혈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은 10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FTX의 샘 뱅크먼-프리드 최고경영자(CEO)가 94억달러(12조8000억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다른 투자자 및 코인업체 대표들을 만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뱅크먼-프리드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플랫폼 트론을 창업한 저스틴 선, 코인거래소 OKX, 스테이블코인 테더 플랫폼 등을 접촉하고 이들 업체로부터 각각 각각 10억달러를 조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또 벤처펀드 세쿼이아 캐피털과 헤지펀드 서드 포인트 등과도 구제금융 확보 방안을 협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뱅크먼-프리드는 직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업계의 여러 플레이어와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자금조달) 성공의 가능성에 대해선 어떤 것도 암시하고 싶지 않다”고 신중한 태도를 취했다.

그러면서 FTX 유동성 위기의 방아쇠를 당긴 관계회사 알라메다 리서치를 폐쇄하겠다고 말했다.

FTX는 고객들이 한꺼번에 자금을 빼가는 ‘뱅크런’ 사태에 이틀간 자금 인출을 막았으나 이날 일부 자금의 인출을 재개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앞서 FTX는 관계사인 알라메다 리서치와의 자금 거래에서 재무구조 부실 의혹이 제기되면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이어 세계 최대의 가상자산거래소 바이낸스가 FTX 인수를 검토했으나 하루 만에 철회하면서 FTX는 파산 위기에 내몰렸고 가상자산 시장은 대폭락했다.

전날 비트코인은 1만6000달러 선이 무너지며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코인 시장은 이날 미국 물가 급등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소식에 일단 한숨을 돌렸다.

가상자산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미국 서부 시간 기준 오전 10시 50분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56% 오른 1만7317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은 8.21% 올랐고, 솔라나도 15.74% 반등했다.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7.7% 올라 전문가 전망치(7.9%)를 하회했다.

로이터는 “FTX 문제가 가상자산에서 더 큰 신뢰의 위기를 촉발하며 비트코인 가격이 전날 1만6000 달러 아래로 떨어졌지만, 예상보다 양호한 미국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자산 시장과 함께 가상자산 가격도 띄웠다”고 전했다.

FTX 유동성 위기가 다른 코인업체로 번진 사례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점도 코인 시장의 추가 하락에 제동을 걸었다.

파생금융상품 업체 마렉스솔루션의 디지털자산 책임자 일란 솔랏은 “FTX 사태 파장이 이어지겠지만, 다른 대형 코인펀드가 FTX와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고 말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