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신 "이태원 참사, 피할 수 있었다", "개인에 책임 돌리는 것 우려"
‘자연재해 아닌 인재’… 당국 관리 소홀 지적

[사진=1일 오후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에서 시민들이 조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 외신들은 이태원 참사에 대해 당국이 관리했다면 막을 수 있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다른 사람들을 밀어 사고를 유발한 개인을 찾아 책임을 묻는 것에 대해서는 이례적이고 우려스러운 일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10월 31일(현지시간) 이번 참사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하면서 "분명 피할 수 있는 일이었다"는 밀라드 하가니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 교수의 발언을 제목으로 뽑았다.

NYT는 참사 현장인 폭 3∼4m짜리 골목에 대해 "경찰이나 관련 당국은 이 골목이 위험한 병목지역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있었어야 한다"며 "그러나 경찰도, 서울시도, 중앙정부도 이 지역의 군중 관리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외신들은 경찰관 배치 부족, 대규모 인파 밀집 상황의 안전관리 대책 부족 등이 참사를 불러왔다며 당국의 부실관리 문제를 지적했다. 참사 당일 10만 명 이상이 방문할 거라는 예상이 미리 나왔는데도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재난관리 전문가인 줄리엣 카이엠 CNN 국가안보 해설가는 "당국은 사고 당일을 앞두고 대규모 인파를 예상해야 한다"며 "인파 규모를 실시간으로 예의주시해서 사람들을 밖으로 빼내야 할 필요를 감지했어야 하기에 이런 부분에서 당국에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논평에서 "이번에 서울에서 벌어진 일은 자연재해가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참사 당일 현장에서 다른 사람을 밀거나 잡아당긴 사람들이 사고를 유발했는지 조사에 나선 경찰에 대해 "매우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영국의 주요 스포츠 행사 군중 관리 담당자인 이세 머피는 WSJ에 "경찰이 개인을 조사하고 사고 원인을 이들에게 돌린다면 매우 우려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