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토피 환자, 물사마귀 발생 위험 5배 더 높다

만성 피부질환인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피부 감염질환에 걸릴 위험도 높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되었다. 특히, 물사마귀로 알려진 전염성 물렁종 발생 위험이 크며, 아토피피부염 진단 후 평균 약 두 달 반 만에 발병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2차 피부 감염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피부과 이지현(공동교신저자)·한주희(공동 제1저자) 교수팀은 광운대학교 경영학부 이석준(공동교신저자)·윤재웅 연구원(공동 제1저자) 연구팀과 공동으로 순차연관성분석을 이용한 실제 진료 환경에서 아토피피부염과 피부 감염 질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전 연구에 따르면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표피 기능이나 전신 면역 기능에 이상이 생기거나, 생체 방어물질인 항균 펩타이드가 저하되어 피부 감염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를 SP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중 아토피피부염 환자 7만205명의 동반된 피부감염 질환을 확인하고, 피부 감염 질환의 발병 시점을 확인했다.

다중 회귀분석(통계분석) 결과,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전염성 물렁종(물사마귀) 5.273배, 농가진 2.852배, 수두 2.251배, 중이염 1.748배, 포진상 습진(헤르페스성 피부염)1.292배, 바이러스 사마귀 1.105배 감염 위험이 더 높았다.SPM 분석에서 아토피피부염에 동반된 전염성 물렁종이 1.06%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아토피피부염 진단 후 평균 77.42일 후 감염되어 가장 짧은 발병 시점으로 관찰되었다.

한주희 교수는 “아토피피부염이 특히 농가진, 전염성 물렁종, 중이염과의 관련성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피부 감염 질환의 적절한 예방 및 관리를 통해 아토피피부염 악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지현 교수는 “아토피피부염은 치료중에 호전되다 치료를 중단하면 다시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질환으로, 피부 장벽기능이 약화되어 건강한 사람보다 피부감염이 잘 생겨 악화되지 않도록 꾸준하게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열 기자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