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전기차 보조금 의견수렴 착수…현대차·기아 위기 해소될까
재무부·국세청, 내달 4일까지 의견 수렴 공지
7500달러 보조금 ‘북미 생산’ 요건 완화 주목
현대차 아이오닉5 [현대차 제공]

[헤럴드경제=원호연 기자]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보조금 관련 세부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의견 수렴에 착수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 국내 자동차업체가 북미 지역에서 전기차 판매를 이어갈 수 있을 만한 완화 조치가 나올지 관심이 모아진다.

미 재무부와 국세청(IRS)은 5일(현지시간) IRA를 통해 지급하는 여러 세제 혜택과 관련해 11월 4일까지 이해관계자 등 대중 의견을 수렴한다고 공지했다.

자동차 업계는 IRA가 최대 7500달러(약 1000만원)에 이르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요건에 ‘북미 최종 조립’을 명시하고 있어 이 규정이 바뀌지 않는 한 수출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아이오닉6 5 EV6 등 국내 완성차업체 전기차가 전량 한국 내에서 생산되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 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을 지을 예정이나 2025년 완공 예정이어서 2년 이상은 북미 시장 실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지난 4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공영운 현대차 사장도 “보조금 액수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저희 차를 선택하기에 상당히 어려운 장벽을 만나게 됐고, 판매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라며 별도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타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근 방한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전기차 보조금 문제에 관한 한국의 우려를 이해한다고 밝혔고 미 의회 일각에서도 대안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관측된다. 그러나 국내 업계는 지금 상황에서 그나마 가장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법 시행을 일정 기간 유예하는 방안 정도라는 반응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미국 측 움직임을 지켜보고 세부 규정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와 자동차 업계 입장이 최대한 반영되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 측 공지 내용을 관계 부처·업계와 분석해 대응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관계 부처 및 자동차·배터리 업계 등과 이번 고시를 기다리며 상당 기간 함께 준비해 왔다"며 "부처와 업계가 함께 세밀한 분석과 원활한 소통을 바탕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