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기시다 ‘두달후 만남’ 예고 됐지만...
한덕수 총리 ‘아베 국장’ 참석...기시다 접견
G20 ‘기회’...내년5월 히로시마 G7 ‘골든타임’
일본 강제동원 배상 등 관련 이견차 조율 과제

진통 끝에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한일 회담을 두고 시작 전부터 끝난 후까지 논란이 계속되면서 양국 여론이 모두 민감해진 후폭풍으로 돌아왔다. 양국 관계의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배상 문제는 실무 단위의 협상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정상 간 합의로 진행되는 수순인데, 논의 과정에서 ‘국민적 지지 확보’가 더욱 무거운 숙제가 됐다.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일 ‘약식’회담에서 양 정상이 “현안을 해결해 양국 관계를 개선할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정부는 정상 간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외교 당국 간 대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4차례의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국내 각계의 여론을 수렴 중인 우리 외교부는 ‘정부 해법안’을 구체화한 후 일본 측에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추가 정상회담을 통해 논의를 진전시키고 양 정상이 최종 합의를 발표하는 시나리오다.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양 정상이 만날 기회가 열린다. 2023년 5월 예정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는 기시다 총리의 지역구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데, 의장국인 일본이 윤 대통령을 초청한다면 일본에서 한일 ‘정식’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가장 빠르게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의 국장(國葬儀)에 정부 대표로 참석하면서 28일 기시다 총리와 만날 예정이다.

관건은 이번 정상회담으로 민감해진 여론을 돌리는 데 있다. 순방 전 윤 대통령의 제77차 유엔총회 참석 계기로 한미·한일 정상회담이 “흔쾌히 합의가 됐다”는 대통령실의 발표는 결과적으로 개최 여부에 대한 혼란,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는 형식, ‘강제동원’을 언급조차 못한 결과 등 종합적인 면에서 주도권을 가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 측에서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한국 측이 먼저 발표했다는 이유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면서, 일본 정부는 결과적으로 개최된 정상회담의 합의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태도를 취했다. 이번 회담의 호스트였던 일본은 회담장 준비 부실 논란을 일으켰고 정상 간 만남을 ‘간담’으로 격하시키면서도 “(한국 측이 발표한 약식회담과) 의미하는 것이 다른 게 아니다”라는 모순된 해명을 내놓았다.

양국의 ‘기싸움’이 계속되고 있어 정상회담으로 가는 과정이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시다 총리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의 기자회견에서 향후 한일 ‘공식’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 “현시점에서는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이번 정상회담 개최 발표에 불쾌감을 보인 일본 측에서는 양국 총리 회담 사실을 먼저 보도하기도 했다. 정부가 해법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도 피해자 측이 일본 기업이 배상에 참여해야 하며, 사과를 해야 한다는 입장인 만큼 동의를 구하는 절차도 큰 과제다. 최은지 기자

silverpap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