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준이 뭐냐” “보여주기식 쇄신”…대통령실 물갈이에 ‘뒷말 무성’
행정관급 실무진 50여명 교체
정치권 출신 칼바람·檢라인 유지
대통령실은 “업무 효율화 포인트”

대통령실이 인적 개편을 일단락 했지만 내부 분위기는 침울하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당일 면직을 통보하는 등 행정관급 실무진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물갈이가 진행되면서 직원들은 동요를 감추지 못했다. 대통령실은 ‘적재적소’를 내세웠지만, 검찰 출신이 주축이 된 인사라인과 각 부서의 책임자인 수석급 고위직은 ‘칼바람’을 피했다는 지적과 함께 “(사직 권고) 기준이 뭔지 알 수가 없다”, “결국 실무진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반발이 거세다.

8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전날 마무리 된 인적 쇄신에서 전체 420여명의 직원 중 50여명 이상의 행정관급 실무진이 재배치되거나 짐을 싸 대통령실을 떠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말 정치에 입문했을 당시부터 캠프에서 헌신해왔던 실무자들도 ‘칼날’을 피하지는 못했다. 또, 이 과정에서 일부 행정관들은 사직 권고를 받았다가 번복되는 등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논란은 교체 대상이 대다수 정치권 출신 인사들에 편중됐다는 점이다. 당초 대통령실 안팎에서는 부적절한 외부인사 접촉, 내부정보 유출 등을 이유로 고강도 감찰이 진행되면서 ‘기강 다잡기’ 차원의 쇄신이 진행 중이란 관측이 나왔다.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핵심관계자)’과의 거리두기라는 해석에도 무게가 실렸다. 그러나 예상보다 교체범위가 커지고, 각 부서별로 교체 인력 규모가 정해진 것으로 전해지면서 숫자를 맞추기 위한 ‘보여주기식 쇄신’ 아니냐는 성토가 나온다. 이번 개편에서 검찰 라인은 상대적으로 ‘무풍지대’였다는 점 역시 내부 반발을 야기하는 이유다. 정부 초기 국정운영 난맥을 초래했던 인사 실패의 책임은 정작 반영되지 않았다는 비판이다.

비서관급 이하 행정관을 대거 퇴출하면서 정치권을 중심으로 분출했던 대통령실 인적쇄신 요구를 실무진 교체로 ‘꼬리 자르기’했다는 지적도 있다. 대통령실 한 실무자는 “왜 잘렸는지도 알 수 없고 당장 오늘 누가 잘릴 건지도 예측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 같은 기류에 ‘조직 진단에 따른 업무 효율화의 결과’라는 입장이다. 또, 1차 개편을 일단락 했지만 추가적인 인력 교체는 상시적으로 진행될 것이란 설명이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전날 “윤 대통령 취임 100일이 지나면서 (직원들에게) 업무기술서를 받아봤고, 어떤 조직에 누가 근무하며 이게 맞는지 틀리는지 조직 진단을 했다”며 “인적 쇄신은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고 대통령실이 어떻게 하면 좀 더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여서 국민에게 최선의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포인트를 뒀다”고 강조했다. 정윤희 기자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