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라 이사지왕 경주 ‘금관총’ 현대적 전시공간으로 복원…일반에 공개
경주 금관총 내부 돌무지덧널무덤 재현 모습.[경주시 제공]

[헤럴드경제(경주)=김병진 기자]신라금관이 첫 발견된 곳이자 신라고분 중 유일하게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금관총'이 복원·정비를 마치고 일반에 공개됐다.

16일 경북 경주시에 따르면 시는 신라 금관이 처음 발견된 곳이자 이사지왕 무덤으로 추정되는 금관총 복원과 정비를 마치고 현대적 전시 공간인 '금관총 보존전시공간'으로 이날 공개했다.

금관총 보존전시공간은 노서동에 있는 지상 1층 576.9㎡ 규모로 신라 고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시범전시에 들어간다.

시설 내부는 국내 고분 정비 사상 최초로 돌무지덧널무덤의 주요 축조구조물인 목조가구를 실물 크기로 재현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 2015년 금관총 재발굴 당시 돌무지(積石) 유구 바닥에서 발견한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무 기둥 자국, 외곽 경사면의 가로세로 모양 나무 기둥 접합 흔적 등이다.

무덤 중앙 덧널(木槨)은 일제강점기 첫 조사 결과와 달리 더 크고 높으며 외부에 덧널이 하나 더 있다는 사실이 이번에 새로 밝혀져 이를 반영했다.

시는 금관총 개관을 앞두고 돌무지덧널무덤 연구 고고학자와 문헌사학자 및 사적분과 문화재위원 등 관계전문가들의 자문과 고증을 수차례 걸쳐 받아가며 충실하게 콘텐츠를 제작 구성했다.

또 수학여행지의 성지답게 어린이 학생들을 위한 눈높이 맞춤 설명 수준과 삽화묘사 등 돌무지덧널무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단 증강현실 AR기법도 도입했다.

정식 개관 일정은 인근 고분정보센터 조성 공사가 마무리되는 내년 상반기가 될 전망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현재 남아 있는 금관총 봉분 형태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설계안을 네 차례 변경했다"며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신라 고분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