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로 위의 ‘시한폭탄’…전동킥보드 안전 기준 연구 나선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설문 등 분석해 운행지침 수립
전동킥보드 사망사고 급증
[123rf]

[헤럴드경제] 최근 급속도로 늘어단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PM) 관련 사고를 막기 위해 도로교통공단이 안전 기준 연구에 나선다. 지난해에는 19명이 PM 사고로 사망하는 등 안전 문제가 심각하다.

도로교통공단은 전동킥보드를 비롯한 개인형 이동수단(PM)의 안전 기준과 운행 지침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한다고 15일 밝혔다. PM은 국내에서 2017년부터 운행되기 시작해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이후 비대면 교통수단이라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운행대수와 이용건수가 늘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나 보행자와 부딪히는 등 교통사고도 증가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PM 사고로 발생한 사망자 수는 지난해 19명으로 전년(10명)보다 갑절 가까이 늘었다. 올해 상반기에도 11명의 PM 사고 사망자가 발생해 지난해 상반기(6명)보다 83.3% 증가했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분기부터 가파르게 늘었다.

도로교통공단의 이번 ‘PM 통행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준 및 운행지침 수립 연구’는 PM 이용자의 안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교통사고 통계와 기존 문헌조사를 통해 국내외 관련 법령과 제도를 검토한 뒤 PM 안전기준과 운행지침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M 산업 동향과 운행대수·이용건수 변화도 파악한다. 교통사고와 도로 유형별 통계, 환경적 요인, PM 기종별 안전영향 요인 등을 세밀하게 분석한다. 또 PM 이용자 설문을 통한 통행 특성과 시사점도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행 안전 기준과 운행 지침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용자 안전과 이동성 제고를 위한 인프라 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