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정부 집값 안 잡혔던 이유…소형주택 늘렸는데 1~2인가구 중형주택 사들였다 [부동산360]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분석해보니
가구 53만개 증가할 때 주택 29만채 늘어
1~2인가구 아파트 거주비율 압도적
오피스텔 거주 국민 첫 100만명 돌파
소형 주택 중심 주택 공급대책 한계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본 마포구 아파트 밀집지역. [연합]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대비 9만1000명 감소했지만 가구 수는 2202만3000가구로, 53만8000가구 증가했다. 1~2인가구 등으로 가구가 분화됐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 우리나라 주택 수는 1881만2000채로, 전년보다 28만6000채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주택 구매 단위가 되는 가구 수 증가 대비 주택 공급이 25만2000채 모자랐던 셈이다. 이는 지난해 전국 주택 가격 폭등의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전국 주택값은 평균 14.97% 뛰어(KB국민은행 조사 기준) 2002년(16.43%) 이후 19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시사점이 많다. 전국 기준은 물론 수도권 기준으로도 늘어나는 가구 수 대비 주택 공급 규모가 많이 부족하다. 증가한 가구들은 새로 지어진 주택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 재고 주택시장으로 몰릴 수밖에 없다. 이는 지난해 역대급 집값 상승세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 오피스텔 등 기존 주택을 대체할 만한 주거시설로 수요가 이동하는 배경이 된다.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확인할 수 있는 달라진 주택시장 환경을 정리한다.

▶서울, 인구 감소에도 가구 수는 5만가구 증가=먼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지역은 경기도다. 1365만3000명이 살고 있어, 유일하게 1000만명이 넘는다. 이는 전년(1351만2000명)보다 14만1000명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에는 우리나라 전국 인구의 26.4%가 살고 있다. 경기도 거주 인원 비중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년(26.1%) 대비 높아졌다.

다음으로 많은 사람이 사는 지역은 서울이다. 서울엔 947만2000명이 거주한다. 전년(958만6000명)보다 11만4000명 줄었다. 전국 인구 중 18.3%를 차지한다. 집값 상승으로 경기도나 인천으로 인구가 빠져나간 것이 감소 원인으로 보인다. 이 두 지역을 제외하면 부산(332만4000명), 경남(330만6000명), 인천(295만7000명) 순으로 인구가 많다.

주택 구입의 단위가 되는 가구 수 순위도 인구 순위와 같다. 경기가 549만3000가구로 전국 1위이고, 그 뒤를 서울(419만1000가구), 부산(144만7000가구), 경남(140만6000가구), 인천(121만7000가구) 등이 따른다.

여기서 눈길을 끄는 건 서울이다. 인구수는 전년 대비 1.2%(11만4000명) 줄었는데 가구 수는 1.8%(5만3000가구) 늘었다. 가구 수가 늘어나면 주택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서울 집값이 인구 감소에도 상승세를 지속하는 원인이다.

▶수급 불균형 뚜렷…이유 있는 집값 상승=가구 수 증가 대비 늘어난 주택 수가 부족했던 건 수도권 전체로 확대해도 비슷하다.

지난해 수도권 거주 가구는 1090만1000가구로, 전년 대비 2.5%(30만1000가구) 증가했다. 그런데 이 기간 주택 수는 873만채로, 18만7000채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새로 늘어난 가구 수 대비 11만4000여가구 모자랐다.

서울만 따지면 가구 수는 419만1000가구로, 전년 대비 6만5000가구 늘었는데 새 주택은 5만3000채가 증가하는 데에 그쳤다. 늘어나는 가구 수 대비 신규 주택 수가 부족하면 기존 재고 주택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주택값은 평균 18.61% 올라 2006년(20.34%) 이래 상승폭이 가장 컸다.

오피스텔이나 생활형 숙박시설 등 다른 주거 대체시설의 가격이 뛰었던 건 이런 상황을 반영한다. 특히 오피스텔 거주 가구 증가 속도가 빠르다.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거주 가구는 73만8706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64만9150가구)과 비교해 13.7% 늘었다. 주택 공급이 부족했던 최근 5년간 거의 해마다 10% 전후 급증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써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국민은 110만2271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2020년 97만9768명에서 1년 만에 12.5%(12만2503명) 늘었다.

▶1~2인가구도 아파트 거주 비중 가장 높아=가구 수 분화에 따른 주택 수요 변화를 따질 때 가장 많이 논란이 되는 건 1~2인가구가 주로 어떤 주거 유형에 거주하는지다. 문재인 정부는 1~2인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주택은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등 소형 주거시설로 보고, 이런 소형 주거시설 공급에 집중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를 보면 1~2인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거 유형은 중형 이상 아파트인 것으로 확인됐다.

가구원 수 기준 2021년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건 2인가구다. 전국 1881만1627가구 중 2인가구는 496만4769가구로, 26.3%를 차지한다. 2인가구 중 아파트 거주 가구는 312만7648가구로, 가장 많다. 2인가구 전체의 62%가 아파트에 산다는 이야기다. 단독주택(103만7418가구)이나 다세대주택(60만2516가구), 연립주택(14만5406가구) 거주비율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1인가구(414만9105가구) 중에서도 아파트 거주 가구가 239만5959가구로, 가장 많다. 1인가구도 아파트 거주비율이 57.7%나 된다.

거주 면적 기준으로 1~2인가구도 예상보다 더 넓은 주택에서 살고 있다. 2인가구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주택 크기는 흔히 ‘국민주택 규모’로 불리는 전용면적 60~85㎡다. 189만5804가구가 이 크기에 살고 있다. 85㎡ 이상에 거주하는 가구도 96만2134가구나 된다. 전용면적 60㎡ 이상 거주 가구가 2인가구 전체의 57.6%나 된다는 의미다. 1인가구도 전용면적 60㎡ 이상 거주 가구가 147만8328가구나 된다. 1인가구 전체의 35.6% 비중이다.

종합하면 1인가구와 2인가구를 합해 전용 60㎡ 이상에 살고 있는 가구가 전체의 절반 수준인 433만6266가구 규모다. 도시형 생활주택 같은 소형 중심의 주택 공급으로는 1~2인가구 주택 수요를 맞출 수 없다는 의미다.

▶빈집 139만5000채 우려할 필요없는 이유=이번 발표 중에는 우리나라 ‘빈집’ 통계도 주목된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빈집 수는 139만5000채로, 전체 주택의 7.4%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7.7%(11만6000채) 줄었다.

빈집이 7% 이상이라는 건 집값하락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단골 재료다. 빈집 수가 이만큼 많은 건 집값 하락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한다.

그런데 통계에 따르면 이는 대부분 진짜 빈집이 아니다. 현재 사람이 살지 않는 주택인 것은 맞지만 신축 주택 및 매매·임대·이사·미분양 등의 사유로 인한 일시적 빈집이 대부분이란 게 통계청 설명이다. 일본이나 해외 빈집 통계와는 집계 방식이 다르다. 새로 짓고, 이사하면서 생기는 자연 공실률 같은 것으로, 해마다 7~8% 수준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에도 빈집 비율은 7.4%였고 2019년엔 8.4%까지 뛰기도 했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