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中 무력시위 중단 촉구…“위기 조성 말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오른쪽)이 4일(현지시간)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서 비비안 발라크리쉬난 싱가포르 외교장관(왼쪽)과 대화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유혜정 기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4일(현지시간)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빌미로 중국이 무력 시위에 들어간 것과 관련해 중국은 위기를 조성하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 등에 참석하고자 캄보디아를 방문 중인 블링컨 장관은 이날 열린 미·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서 “중국이 위기를 만들거나 공격적인 군사행동을 늘리려는 구실을 찾으려 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는 백악관 입장의 연장선이지만, 중국이 대규모 군사훈련을 시작하는 등 대만을 겨냥한 본격적인 무력 시위에 들어간 이후 나왔다는 점에서 군사 행동을 중단하라는 강력한 촉구로 해석된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의 오랜 정책과 일치하는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을 위기로 전환할 이유가 없다”며 중국이 펠로시 의장의 방문을 공격적인 군사행동을 늘리려는 구실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었다.

블링컨 장관은 “전 세계 많은 국가는 긴장 고조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으며, 아세안 회원국과 중국 등 누구의 이익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린 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최근 며칠간 중국 카운터파트들과 접촉하려 정부의 모든 수준에서 연락을 취했다”며 “양안의 안정 유지는 아세안 내 모든 우리의 친구를 포함해 역내 모든 국가의 이익”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린 대만 해협의 평화와 안정에 대해 변치 않는 관심이 있다”며 “특히 무력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일방적인 시도에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대만관계법, 상호 불간섭 등을 둘러싼 양국 간 합의인 미중 3대 공동성명, 대만의 실질적 주권을 인정하는 6대 보장에 따른 ‘하나의 중국’ 정책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면서 “우리 입장이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에 대응해 대만을 에워싸는 형태로 6개 구역을 설정해 실사격 훈련을 예고한 중국은 이날 실제로 미사일과 장거리포를 쏟아부었다.

중국은 이날 낮 대만 북부, 남부, 동부 주변 해역에 총 11발의 둥펑 계열 미사일을 발사했고, 대만해협 동부 특정 구역에 다연장 로켓 등 장거리 화력 실탄 사격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블링컨 장관은 이날 유럽연합(EU)의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호세프 보렐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와 만나 인도·태평양과 전 세계를 위한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이 밝혔다.

블링컨 장관과 보렐 대표는 우크라이나를 지속해서 지원하고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에 책임을 묻겠다는 기존 약속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yooh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