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월 2천만원 번다” “난 5천만원 번다” 유튜버 실제 수익, 실화야?
70만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유튜버 풍자는 최근 “PPL(간접광고) 없이 월 수입 2000만원이 넘는다”고 밝혔다. [SBS '신발벗고 돌싱포맨' 방송 캡처]

[헤럴드경제=김민지 기자] “잘 키운 유튜브 채널 하나, 강남 아파트값이네… 그래도 섣불리 뛰어들었다간 큰일 납니다.”

인기 경제 유튜브 채널 ‘신사임당’이 20억원에 팔렸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유튜브 채널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위 1% 유튜버들의 월수익이 수천만원인 만큼 채널가치는 수억원을 오간다. 공 들여 키운 채널 하나로 인생역전이 가능한 셈이다. 그러나 채널 간 ‘빈부격차’도 크다. 구독자 1만명을 모아도 채널가치는 200만원이 채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유튜브 채널거래 플랫폼 ‘소셜어스’에 따르면, 3일 기준 30만~40만 구독자를 보유한 채널 가격은 1억3000만원 정도다. 구독자 5만~7만명, 누적 조회 수 8000만~1억뷰인 채널가치는 2억5000만원으로 평가받았다.

20억원에 유튜브 채널을 양도한 유튜버 신사임당. 유튜브 채널 수익은 월 1억5000만원으로 나타났다. [신사임당 인스타그램]

유튜브 채널가치는 구독자, 조회 수, 월간 조회 수 수익, 향후 예측 수익, 슈퍼챗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한다. 구독자 수가 많아도 조회 수 또는 월수익이 적으면 가치도 낮게 책정된다. 다만 실제 거래에서는 채널별 특성이나 판매자 의지에 따라 가격 협의가 가능하다.

이번 ‘신사임당’ 사례처럼 상위 1% 유튜트 채널가치는 수십억원에 육박한다. 앞서 업계에서는 신사임당 채널의 가격을 35억원 안팎으로 추정했다. 실제 거래가가 20억원이란 사실이 알려지자 ‘저렴한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신사임당 채널의 월 순수익은 1억3000만원 정도다. 한 달에 대기업 직장인 연봉의 2배를 버는 셈이다. 70만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유튜버 풍자도 최근 “PPL(간접광고) 없이 월수입 2000만원이 넘는다”고 고백한 바 있다.

유튜브 촬영. [망고보드]

하지만 이는 극소수 사례에 불과하다. ‘소셜어스’에 매물로 나온 A채널은 구독자가 약 20만명임에도 평가금액이 1500만원 정도에 불과했다. 누적 조회 수, 업로드 영상 수 등에 따른 월수입이 적은 탓이다. 구독자 약 1만명, 누적 조회 수 약 210만회를 보유한 B채널은 고작 230만원의 가치를 평가받았다. 채널 간 빈부격차가 극심하다.

유튜버 평균 월수입이 100만원도 채 되지 않는다는 조사도 있다. 앞서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사업소득을 신고한 유튜버 등 1인미디어 콘텐츠 창작자의 평균 연수입은 1인당 933만원이었다. ‘억대 연봉’ 노리고 섣불리 유튜브판에 뛰어들었다간 큰코 다치기 십상이다.

jakme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