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기준금리 1%P 오르면 2년 뒤 집값 최대 2.8% 하락”
집값 고점 인식·차입여건 악화
주택 가격 하방압력 커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상담 창구 앞.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기준금리가 1.00%포인트 오르면 2년 뒤 주택가격이 최대 2.8%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앞으로 주택시장에 가격 하방 압력이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 조사국이 3일 발표한 '주택시장 리스크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한 번에 0.50%포인트 오를 경우 유지한 경우와 비교해 전국 주택 가격이 1차 연도 말에 0.25∼0.35%, 2차 연도 말에 0.65∼1.40% 낮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기준금리가 오른 뒤 2년(8분기)이 지나면 금리 인상의 영향만 분석했을 때 주택가격 하락 폭이 최대 1.40%란 의미다.

기준금리가 1.00%포인트 오르게 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 하락폭이 1차 연도 말 0.4~0.7%, 2차 연도 말 0.9~2.8%로 확대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은 주택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3년 이후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이 2019년을 제외하고 지속해서 5%를 상회하는 점 등도 주택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인상뿐만 아니라 주택가격 고점 인식, 차입 여건 악화 등도 추가 하방 요인으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소득, 임대료와 비교했을 때 전국의 주택가격은 과거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어 고점에 다다랐다는 인식이 있다"면서 또 "최근 금리가 오르고 가계부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 점도 주택가격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주택 공급이 부진하고 보유세와 정비사업 규제가 완화된 점은 주택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봤다.

한은은 "최근 주택가격의 상하방 요인이 혼재된 가운데 하방 요인이 점차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택가격은 금리뿐만 아니라 자금조달 여건, 주택 수급 상황, 정부 정책, 기대심리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택가격 하락 위험 정도는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해당 지역 주택시장이 공급과잉 상태거나 최근 큰 폭 가격상승을 경험한 지역의 하락 위험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4분기 이후 주택가격 하락 위험을 2004년 1분기 이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해 표준화한 결과, 세종시의 주택 하락 위험이 가장 컸고 이어 대전, 경기, 대구 등의 하락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