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 “美, 아시아서 ‘나토식 핵 공유’ 모델 도입 시 엄정 대응”
제10차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가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진행되고 있다. [신화]

[헤럴드경제=유혜정 기자] 중국 정부가 미국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 일부에서 채택한 ‘핵 공유’ 모델을 아시아로 확대하지 말라고 공개 압박했다.

푸충(傅聰) 중국 외교부 군축사(司) 사장(국장)은 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10차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 2일차 일반토의 연설에서 “나토의 핵 공유 모델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복제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역내 전략적 안정을 약화하고 역내 국가들이 강하게 반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필요한 경우 엄정한 대응 조치에 직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토식 핵 공유는 미국의 핵무기를 자국 영토 내에 배치해 공동 운용함으로써 억지력을 강화하는 군사 전략이다.

따라서 푸 사장의 이날 언급은 중국의 이웃 국가들에 미국의 핵무기가 배치될 가능성을 미연에 견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푸 사장은 “소위 핵 공유 협정은 NPT 조항들에 위배되고 핵확산과 핵 분쟁의 위험을 높인다”면서 “미국은 유럽에서 모든 핵무기를 철수하고 다른 어떤 지역에서도 핵무기 배치를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연설은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대만에 방문해 미중 긴장이 극대화한 직후에 이뤄졌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았다.

북핵 문제에 대해선 “한반도 안보 상황이 여전히 복잡하고 심각하다”면서 “우리는 쌍궤병행(비핵화 협상과 한반도평화체제 협상의 병행) 접근법과 단계적·동시적 행동 원칙을 따를 필요가 있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중국은 또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푸 사장은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한 핵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이웃 국가, 국제사회의 정당한 우려에 진지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오염수 방류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이해당사자들은 물론 관련 국제기구와 전적으로 협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은 자연환경과 인류 건강을 희생해서 이뤄져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yooh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