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은평 혁신파크에 ‘세대공존형 주택’ 공급”…싱가포르서 공공주택 구상 밝힌 오세훈
오세훈 서울시장, 싱가포르 첫 일정으로 싱가포르 대표 공공주택 단지 방문
은평 혁신파크 부지에 부모-자녀 근거리 거주하는 ‘1호 세대공존형 주택’ 공급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구상안 발표…“도심-역세권·세대 통합·스마트”
“앞으로의 서울 임대주택, 시민의 삶 고려해 완전히 탈바꿈 시킬 것”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현지시간) HDB 주택전시관에서 탄 멍 두이 싱가포르 주택개발청장으로부터 HDB현황 설명을 듣고 있다.

[헤럴드경제(싱가포르)=김용재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공공주택 단지를 방문해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오 시장이 구상 중인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은 ‘세대 통합·역세권·스마트’를 특징으로 싱가포르 공공주택 모델과 유사하면서도 서울시 고유의 색을 담아낼 예정이다. 특히 은평 혁신파크 부지에는 부모와 자녀가 공존하는 ‘1호 세대공존형 주택’이 공급되는 등 공공주택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오 시장은 30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첫 일정으로 ‘공공주택 전시관’, ‘캄풍 애드미럴티’, ‘풍골 에코타운’ 등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공공주택 단지를 찾았다. 싱가포르 인구의 약 82%가 살고 있는 싱가포르의 공공주택은 수요자 만족과 주거 안정을 동시에 이루는 모범적인 모델로 꼽힌다.

싱가포르의 경우 국가개발부 산하 주택개발청(HDB, Housing & Development Board)이 건설·공급을 담당해 왔다. 주택개발청이 공공주택이 자칫 도심 속 섬처럼 고립되지 않도록 사회통합을 유도하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오 시장이 강조하고 있는 ‘소셜믹스’와 일맥상통한다고 시는 전했다.

오 시장은 이날 ▷싱가포르 공공주택의 내부와 사용자재를 실제와 동일한 쇼룸 형태로 한눈에 볼 수 있는 ‘HDB 공공주택 전시관’ ▷싱가포르 최초의 실버타운으로 결혼한 자녀가 주변에 거주하며 노인의 외로움과 자녀 육아 문제를 해결하는 세대 통합형 지역사회를 만들고 있는 ‘캄풍 애드미럴티’ ▷싱가포르 최초의 친환경 스마트시티인 ‘풍골 에코타운’을 차례로 방문했다.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은 30일 (현지시간) 캄풍 애드미럴티(Kampung Admiralty)의 커뮤니티 시설인 옥상공원을 걷고 있다.
임대주택 新 패러다임…‘세대통합 주거단지’ 은평 혁신파크 부지, 하계 5단지에 시범 조성

이어 오 시장은 싱가포르 북부 실버타운인 ‘캄풍 애드미럴티’를 찾았다. ‘캄풍 애드미럴티’의 경우 아이를 키우는 부부가 많이 사는 10여 개의 공공주택 단지 한 가운데에 조성돼 노년층 부모와 결혼한 자녀 등 3세대가 근거리에 거주하며 생활하는 ‘세대통합 주거단지’가 특징이다.

오 시장은 이곳에서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자녀 육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공공주택 모델로 ‘골드빌리지(가칭)’를 은평 혁신파크 부지에, ‘3대 거주형 주택’은 하계 5단지에 시범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골드빌리지(가칭)’의 경우 ‘캄풍 애드미럴티’처럼 주거·의료·편의시설이 갖춰진 공공형 주택으로, 자녀와 교류하며 편안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대 거주형 주택’은 한 집이지만 세대 분리 등을 통해 부모와 자녀가 각각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특수한 주택평면을 개발하면서 재개발되는 하계 5단지에 조성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시는 부모가 노인복지주택에 거주하고 자녀가 인근 주택으로 이사하거나, ‘3대 거주형 주택’에 입주할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한다.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양육친화형 보증금 지원, 3대 거주 특별공급 청약제도 신설 등을 고려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 (현지시간) HDB 주택전시관에서 탄 멍 두이 싱가포르 주택개발청장과 면담을 하고 HDB에 대한 브리핑을 받고 있다.
오세훈, 싱가포르 공공주택 전시관서 “서울 임대주택도 도심·역세권에 집중 공급” 강조

오 시장은 ‘HDB 공공주택 전시관’에서는 싱가포르 주택정책의 역사, 시대별 평면·평형 특징과 최신 주거 트렌드, 주요 자재, 단지별 미니어처 등을 살폈다. 특히 전시관 내에서 볼 수 있는 PLH(Prime Location Housing)는 싱가포르 HDB에서 지난해 시작한 정책으로, 도심·역세권 등의 직주근접 주택을 신혼부부·청년 등에게 공급 중인 서울시 정책과 유사하게 접근성 좋은 입지에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직주근접 아파트를 공공주택으로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싱가포르는 지난해 ‘PLH 정책’을 발표한 이후 중심업무지구 인근 로처(Rochor)지역에 저렴하고 품질 좋은 공공주택 ‘리버피크(River Peaks)’를 조성하고 있다. 오 시장은 PLH 설명을 들은 뒤 “저소득 도시근로자를 위해 값비싼 아파트 사이 과감하게 공공주택을 조성해 공급하는 PLH 모델의 취지는 서울시의 정책 방향과도 맞닿아있다”며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도 자산이 부족한 신혼부부, 청년, 사회초년생 등도 직주근접 고품질 아파트에 살 수 있도록 도시 외곽이 아닌 도심·역세권에 집중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6월 30일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의 준주거지역 용적률을 최대 700%까지 완화하고 일률적으로 적용됐던 35층 층수 규제를 폐지하는 등 교통 인프라를 갖춘 역세권의 고밀개발을 유도해 주거환경이 우수한 고품질 장기전세주택 물량 확보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0일 (현지시간) 풍골 디지털 지구(Punggol Digital District)를 방문해 블록체인 실증실험으로 물리적 공간·데이터·통신 인프라를 통합한 3D 도시계획에 대해 청취하고 있다.
임대주택 계획부터 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 도입…‘디지털 도시’ 구현

오 시장의 ‘서울형 고품질 임대주택’ 구상은 오염된 어촌마을에서 싱가포르 최초의 친환경 스마트시티로 개발되고 있는 ‘풍골 에코타운’에서도 계속됐다. ‘풍골 에코타운’은 싱가포르가 좁은 국토와 인구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된 신도시로 공동주택단지 계획 단계부터 빅데이터·사물인터넷‧인공지능·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에너지·물 소비와 폐기물 배출 저감을 실천하고 있다.

오 시장은 ‘풍골 에코타운’에서 친환경·스마트 인프라를 통해 에너지를 저감하고 있는 현장을 둘러보고, 재개발·재건축이나 도심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도시 구현방안을 모색했다.

오 시장은 “앞으로의 임대주택은 실제 시민의 삶을 고려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완전히 탈바꿈시키겠다”며 “세대공존형 주택은 부모님은 자녀와 가까이 살면서 외로움과 고립감을 덜고, 자녀는 급하게 아이를 맡겨야 할 때 가까이 사는 부모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최첨단 기술을 집약해 에너지를 저감하는 등 다양한 고품질 임대주택을 구현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brunc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