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탈원전은 정말 바보짓?” 원전 경쟁력 뚝 떨어지고, 생태계 복구도 불투명
윤석열(오른쪽) 대통령이 경남 창원시에 있는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박지원(왼쪽) 부회장과 함께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국내 원자력 기업 절반 이상은 원전 산업 경쟁력이 ‘탈원전’ 이전 대비 최대 40% 떨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원전 생태계 복구 시간까지는 최대 4년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주요 70개 원자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31개사 응답)를 한 결과 이 같이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1.6%)은 국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이 30∼40% 하락했다고 답했다. 이어 20∼30% 하락(22.6%), 10∼20% 하락(6.5%), 기타(19.4%)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이 기존 원전 산업의 경쟁력이 복구되는 데까지 소요될 시간은 2∼4년(51.6%), 4∼6년(38.7%), 6∼8년(6.5%), 2년 미만(3.2%)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경남 창원 두산에너빌리티를 찾아 원자력발전 협력업체 대표 등과 간담회를 갖고, “우리 원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며 “만일 우리가 지난 5년 동안 바보 같은 짓을 안 하고 이 원전 생태계를 더욱 탄탄히 구축했더라면 지금 아마 경쟁자가 전혀 없었을 것이라고 저는 확신한다”고 말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원전 설비업체를 방문했다.

원전 기업들의 주요 애로 사항으로는 전문인력 부족 답변이 35.7%로 가장 많았다. 실제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21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 수는 2165명으로 2017년(2777명) 대비 22.0% 감소했다.

다음으로는 운영자금 부족(30.4%), 협력업체 사업 포기로 인한 공급망 악화(17.9%), 차세대 기술확보 수준 미흡(12.5%) 등이 꼽혔다.

직전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영향받은 분야로는 사업성 저하로 인한 수익성 악화(54.8%), 인력 이탈로 인한 전문성 약화(29.0%), 연구·개발(R&D) 중단 및 기술 수준 저하(9.7%), 밸류체인 경쟁력 약화(3.2%) 순으로 나타났다.

원전 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조속한 일감 공급(46.9%)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이어 원전 착공 관련 인·허가 규제 개선(28.1%), 금융부담 완화(17.2%), 한계기업 지원(7.8%) 등의 답변이 뒤따랐다.

원전 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과제로는 분야별 전문인력 육성 지원(27.4%), 원자력 기술 및 제품 국산화(24.2%), R&D 지원(19.4%), 수출 지원정책 마련(16.1%), 산업 전반의 법·규제 개선(12.9%) 등의 의견이 나왔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7월 유럽연합(EU)의 택소노미(녹색분류체계)에서 원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분류된 이후 한국판 K-택소노미에도 원전의 친환경 에너지 포함이 확실시되고 있다”며 “글로벌 원전 산업의 높은 성장세로 수출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원전 생태계를 조속히 회복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