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위 "서울보증보험 단계적 지분매각… 내년 상장 추진"

SGI서울보증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정부가 서울보증보험(SGI서울보증)을 내년 증시에 상장하는 등 단계적으로 지분을 매각하기로 했다. 다만 경영권 지분 매각을 통한 완전 민영화는 중장기 과제로 검토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2일 회의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서울보증보험 지분매각 추진계획'을 의결했다.

서울보증보험은 1998년 외환위기로 파산 위기에 몰린 대한보증보험과 한국보증보험이 합병해 출범한 회사로, 예보 등으로부터 공적자금 총 10조2000억원을 수혈받은 바 있다. 예보가 보유한 서울보증보험은 지분율은 93.85%이며, 나머지 지분은 보험사 등이 나눠 갖고 있다.

공자위원들은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 청산 시한이 2027년으로 다가옴에 따라 서울보증보험 지분의 단계적 매각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공자위는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예보가 보유한 지분 중 약 10%를 기업공개(IPO)를 통해 증시에 상장해 매각(구주매출)하기로 했다. 상장으로 주식의 시장가격이 형성돼야 향후 추가 지분 매각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어 2∼3년간 입찰 또는 블록세일 등 방식으로 매회 10% 안팎의 지분을 수차례 매각해 예보 보유 지분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다만 경영권 지분(지분의 50%+1주 이상)은 서울보증보험 업무의 성격·범위, 보증보험산업 관련 정책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중장기적으로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서울보증보험은 1998년 합병 출범한 이후 정부의 정책적 판단에 따라 보증보험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해왔다.

예보는 그동안 상환우선주 상환과 배당금 수입 등으로 총 4조3483억원의 공적자금을 회수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