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4년 한국형 청정수소인증제 도입”
박일준 산업차관 산업계간담회
수소경제 투자 활성화 제도 지원
박일준(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20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수소경제 투자 활성화를 실현을 위한 산업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2024년부터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이를 통해 암모니아 등 다양한 수소 생산방식에 따른 청정수소 인증 범위 및 관련 인센티브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박일준 2차관 주재로 ‘수소경제 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계 간담회’를 열고 제도적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청정수소인증제의 조속한 시행과 수소 인프라 확대, 청정수소 발전제도 명확화 등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청정수소인증제 시행과 관련해 현재 다양한 수소 생산 방식, 국제 동향, 국내 산업 현황 등을 고려한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내년에 초안을 공개하고 2024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주유소와 액화천연가스(LPG) 충전소에 수소충전 인프라를 추가한 융·복합 충전소를 확대하자는 건의에 대해서는 “규제샌드박스(한시적 규제 유예·면제)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바탕으로 규제 해소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또 청정수소 발전과 관련해선 “다양한 수소발전에 대한 청정수소발전제도(CHPS)를 내년에 도입할 예정”이라며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무탄소 연료인 수소·암모니아를 활용한 발전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박일준 2차관은 “새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안보 강화, 에너지 신산업 창출을 통한 튼튼한 에너지 시스템 구현하겠다”면서 “수소는 에너지 신산업의 핵심으로 민간 투자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제도적으로 탄탄하게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