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해 리콜 56.8% 증가…공정위, 발표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지난해 총 리콜 건수가 3470건을 기록했다. 2020년 실적(2213건) 대비 1257건 증가(56.80%)했다. 최근 5년 동안 가장 큰 증가폭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8일 각 부처,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 등의 2021년 리콜 실적을 분석하여 이같이 발표했다. 소비자기본법 등 19개 관련 법률에 따라 국토교통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기술표준원, 환경부 등 부처, 지방자치단체, 한국소비자원의 공산품, 자동차, 식품, 의약품 등 리콜 실적이 분석 대상이다.

유형별 리콜 건수는 리콜명령 1241건(2020년) → 1,678건(2021년), 자진리콜 699건(2020년) → 1,306건(2021년), 리콜권고 273건(2020년) → 486건(2021년)으로 모두 증가하였다.

품목별 리콜 건수는 공산품 916건(2020년) → 1719건(2021년), 의약품(한약재·의약외품 포함) 223건(2020년) → 807건(2021년), 자동차 258건(2020년) → 314건(2021년)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각 정부 부처의 안전기준 강화와 적극적인 법 집행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공정위는 “이번 발표를 통해 사업자 및 소비자의 리콜제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소비자가 제품 결함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