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복현 "금리 상승 취약차주, 상환부담 연착륙 방안 모색"
금감원, 긴급 리스크 점검회의
[사진=이복현 금융감독원장(맨 오른쪽)이 4일 오전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경제부총리 주재 금융당국 조찬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최상목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리 상승에 따른 금융 리스크에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이 원장은 4일 금감원 전략 담당 부원장보 및 8개 부서 부서장이 참석한 '긴급 리스크 점검회의' 열어 최근 국내외 경제·금융시장 동향 및 주요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금리 상승으로 과다채무자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이자부담이 증가하고,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차주부실 및 담보가치 하락에 따른 개별 금융회사의 유동성·건전성 리스크를 업권별 특성을 감안하여 집중 관리하고,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모니터링 강화 및 대응체계를 구체화하라"며 "서민・취약계층이 금리상승, 자산시장 가격조정으로 과도한 상환부담을 겪지 않도록 연착륙 방안을 적극적이고 세밀하게 모색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리 상승에 따른 취약차주 및 금융회사 부실위험, 외화유동성 사정 등을 중점 점검했다.

은행에 대해서는 예대금리차 공시 개선, 금리인하 요구제도 활성화, 취약차주 맞춤형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취약차주의 부실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외환시장은 대외리스크 확대에 대비해 외화유동성 관련 취약부문이 발생하지 않도록 취약 금융회사별로 관리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보험업권에 대해서는 자체 자본관리 강화 및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을 유도하고 취약회사에 대한 상시점검을 통해 필요시 조치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금융투자업권은 시장지표 추이 및 외국인 투자매매동향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업계와 공동으로 증권사의 건전성 및 유동성 등 리스크 요인별 대응능력을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중소서민금융 분야는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특성상 신용리스크 확대에 대비 가계·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경기민감업종 대출 등에 대한 충당금 추가 적립 등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