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찜통 더위 시작...환경부, 취약계층 폭염대응 맞춤형 지원
환경부 차관, 시민단체․기업과 안전한 여름나기 위해 아산시 현장 방문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찌는 듯한 더위가 시작되면서 정부가 취약계층의 폭염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환경부는 국민과 지자체의 폭염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기후위기 취약계층 2360여 가구와 1710여 곳의 시설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먼저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홀몸 어르신 등 취약계층 360가구를 대상으로 온열환자 예방을 위해 창문형 냉방기를 지원한다.

[환경부 제공]

또, 취약계층 50가구를 대상으로 실내환경진단 등 환경성 질환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환경보건서비스 지원사업’을 연계해 제공한다. 환경보건서비스 지원사업은 실내환경진단(곰팡이 등 6개 환경유해인자 진단), 환경컨설팅 및 진료지원(환경성질환 전문 병원 진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33개 지자체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건물 옥상 및 외벽 등에 쿨루프, 쿨윌, 쿨페이브먼트 등 차열도장 및 창호를 설치하는 실내환경 개선을 비롯해 소규모 물길 폭염 쉼터 조성 등 기후변화 적응 기반시설 확충에 국고 47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시민단체 및 기업, 산하기관과 협력해 생활 속 폭염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공익활동도 펼친다.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등 시민단체, 기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전국 56개 시군구의 취약가구 2000여곳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진단상담사(컨설턴트)와 함께 양산, 부채, 생수, 간편식, 여름 베개 및 이불 등 폭염대응 물품을 지원하고, 폭염행동 요령을 안내한다.

이날 유제철 환경부 차관은 충남 아산시를 방문, 기후위기 대응 참여 기업과 함께 취약가구에 폭염대응 물품을 전달하고 지자체의 폭염대응 추진상황을 점검한다. 유 차관은 이태규 아산시 부시장과 함께 지역 내 개별 취약가구를 방문해 창문형 냉방기기 설치를 돕고, 안개분사기(쿨링포그)가 설치된 버스환승센터 등 폭염대응시설 2곳의 운영 상황과 체감 효과를 살펴본다. 유 차관은 “기후변화 영향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며 “기후 불평등 완화를 위해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