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숭이두창 국내 첫 확진 공식 확인…감염병 위기경보 수준 격상
확진자 인천의료원으로 이송
치료 및 심층 역학조사 진행
위기 상황 분석·평가 후
위기경보 단계 '주의'로 상향
중앙방역대책본부 가동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이 22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원숭이두창’ 국내 의사환자 발생 상황과 검사 결과, 대응 조치 등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아프리카 풍토병으로 유럽 등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원숭이두창’ 환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22일 원숭이두창 의사환자(의심자) 2명에 대한 진단검사 결과, 내국인 1인이 최종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21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해 의심 증상을 보인 내국인 A씨에 대해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유전자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확진자로 판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질병청은 원숭이두창 의사환자인 외국인 1명(20일 입국)과 내국인 1명(21일 입국)에 대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원숭이두창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는 독일에서 지난 21일 오후 4시께 귀국한 내국인이다. 입국 전인 지난 18일 두통 증상이 있었고, 입국 당시에는 37.0도의 미열, 인후통, 무력감(허약감), 피로 등 전신 증상과 피부 병변이 발생했다. 인천공항 입국 후 본인이 질병청에 의심 신고를 해 공항검역소와 중앙역학조사관에 의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 공항 격리시설에서 대기 후 국가 지정 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됐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가 확인됨에 따라 22일 위기평가회의를 열고, 위기 상황을 분석·평가한 후 위기 상황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하기로 의결했다. 이번 환자 발생으로 ‘감염병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과 질병관리청장은 위기 경보 단계 ‘주의’를 발령했으며, 이에 따라 현재의 대책반을 중앙방역대책본부로 격상해 다부처 협력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전국 시도 및 발생 시도 내 모든 시군구는 지역방역대책반을 설치·운영토록 비상 방역 체계를 가동할 예정임을 함께 밝혔다.

당국은 원숭이두창에 대해 하반기 검역관리지역을 지정하고, 특히 원숭이두창이 빈발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발열 기준 강화 등을 통해 해외 유입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출입국자 대상 SMS 문자 및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활용한 안내를 강화해 입국자들의 건강상태질문서 자진신고율을 제고하고, 입국 후 잠복기간 내 의심 증상 발생 시 ‘1339’로 신고를 계속 독려할 예정이다.

원숭이두창 예방접종 관련해선 노출 후 발병과 중증화 예방을 위해 환자 접촉자의 위험도를 고려해 희망자들에게 접종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3세대 백신의 신속한 도입을 추진 중이다. 현재 국내 활용 가능한 치료제인 ‘시도포비어’ ‘백시니아면역글로불린’ 등 100명분을 의료기관에 필요 시 배포해 사용토록 하고, 원숭이두창 치료를 위한 항바이러스제인 ‘테코비리마트’(경구) 500명분은 7월 중 국내 도입할 예정이다.

의사환자에 대한 진단검사는 당분간 질병청에서 수행할 계획이지만 향후 국내 원숭이두창 발생 상황을 고려해 확산 등의 우려가 있게 되면 지자체에서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확대할 계획이다. 질병청은 원숭이두창 대응을 위해 의료진 안내문을 배포했으며, 일선 의료기관의 원숭이두창 의심환자 진료 및 확진자 대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영상을 배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당국은 WHO 국제보건규칙(IHR)에 따라 원숭이두창 확진환자 발생 사실 및 조치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와 해당 확진자의 출국 국가인 독일에 이날 오후 통보했다.

한편 질병청은 원숭이두창 조기 발견과 지역사회 확산 차단을 위해선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숭이두창 발생 국가를 방문 또는 여행하는 국민에게는 손 씻기, 마스크착용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귀국 후 21일 이내 증상 발생 시 질병청 콜센터(1339)로 상담할 것을 당부했다. 의료진에 대해서는 원숭이두창 의심환자 진료 시 안전한 보호구를 착용하고 환자 감시와 신고에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fact051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