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고통의 정점은 아직 먼데 곳곳에 이미 경기침체 징후

이미 곳곳에 경기침체의 징후가 뚜렷하지만 연일 발표되는 미국발 위기 신호는 고통이 정점이 한참 멀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장 놀랍고 우려되는 것은 소비위축이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 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50.2로,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소비는 미국 경제의 80%다. 그런데 100을 기준으로 긍·부정을 가르는 지수가 50 언저리라는 건 충격 그 자체다. 오일쇼크 때보다 낮다. 인플레에 둔감한 부유층까지 소비를 줄일 정도다. 이미 한국에선 나타나는 현상이다. 거리두기 완화에도 5월 말에 발표된 4월 소비는 0.2% 감소했다. 경기는 이미 침체 국면이다.

문제는 아직 시작 단계일 뿐이란 점이다. 인플레는 여전하고, 그걸 잡기 위한 금리인상 속도는 점점 가속화된다. 지난 15일 0.75%포인트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을 한 미국 연준이 점도표로 제시한 올해 말 적정 금리는 3.25~3.50%였다. 하지만 물가를 잡기 위해서는 4% 이상, 심지어 7%의 금리가 필요하다는 결론의 내부 자료를 만들었다는 게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로 확인됐다. 이제 고작 1.50~1.75%인 금리 수준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자이언트 스텝은 몇 차례나 더 밟아야 한다. 심지어 7월 1% 인상설도 나온다.

미국의 급속한 금리인상은 핫머니에 취약한 신흥국들의 위기를 더 심화시킨다. 스리랑카는 최근 일시적 국가부도를 선언했고 잠비아, 레바논 등도 위기 상태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주 라오스 국가 신용등급을 ‘정크’ 등급으로 낮췄다.

한국은 이 국가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펀더멘털이 탄탄하다. 하지만 복합위기의 그늘마저 벗어버릴 수는 없다. 안 그래도 미국에 금리인상시계를 맞춰야 하는데 물가마저 잡지 못하면 경제는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정부도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다. 휴일을 마다치 않고 19일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열어 민생물가 안정대책을 발표했다. 고유가 대응을 위해 7월부터 연말까지 유류세 인하폭을 법상 최대 수준인 37%로 확대하고, 전기·가스요금의 인상폭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철도·우편·상하수도 등 공공요금도 동결한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마른 수건을 쥐어짜도 인하효과는 30원 언저리고 여전히 주유소 기름값은 리터당 2000원을 넘는다. 세금을 낮춰주고 규제를 개혁한다지만 효과는 한참 후에나 나타난다. 한계기업과 자영업자들의 줄도산 가능성은 코앞이다.

기업들은 잇달아 비상경영전략회의를 열며 생존 방안을 모색 중이다. 오직 위기에 무감각한 곳이 원 구성도 못한 채 공전 중인 국회다. 책임은 여야 모두에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