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제위기에 당혹스런 미국…경기침체냐 둔화냐 설왕설래
전문가들 ‘1년내 침체확률’ 44%
2005년 이후 설문서 최고 수치
옐런 “안정 성장기 이행하며 둔화”
정부, 11월 중간선거 앞 ‘선긋기’
재닛 옐런 미 국무장관이 지난 7일(현지시간) 미 상원 금융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는 모습(위쪽 사진). 미국 뉴저지 주 에지워터 한 엑손 주유소 앞에 성조기가 휘날리는 가운데 휘발유 가격을 표시한 전광판이 보인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기록적 인플레이션의 원인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과, 엑손 등 석유 공룡들의 소극적 투자와 수익 확대 전략을 탓한 바 있다. [AFP·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 후폭풍으로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에 대해 미국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경제 전문가들은 경제 침체 가능성에 좀 더 무게를 두는 반면 11월 중간 선거를 앞둔 미국 행정부와 정가에선 경기 침체 신호는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6~17일 경제 전문가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올 확률’에 대한 답변 평균치는 절반에 가까운 44%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같은 조사에서 답변율이 4월 28%, 1월 18%에 그쳤던 데 비해 크게 오른 것이다.

저널은 19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이는 “이미 경기침체에 진입했거나 그 직전에나 볼 수 있는 수치”라면서, “지난 2005년 중반부터 관련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후 이 정도의 높은 수치는 나온 적이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올 확률’에 대한 답변 평균치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됐던 2007년 12월에는 3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로 모두 지금보다 낮았다.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전망의 배경으로 높은 대출 금리, 급격한 물가상승률, 공급망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상품 가격 충격 등 여러 요인을 짚었다.

연준이 경기 둔화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금리를 가파르게 올릴 수 있다는 시나리오는 실현하기 어려워졌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이번 조사에서 이코노미스트들이 예상한 올해 말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연간 상승률 전망치는 평균 6.97%로 4월 조사 결과인 5.52%를 훌쩍 넘었다. 2023년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4월 2.86%에서 6월 3.26%로 높아졌다. 연준의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에 대해서도 3.315%로, 지난 4월 조사(2.014%) 보다 높아졌다.

하지만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이날 ABC방송에서 “경기 침체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앞서 지난 16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AP통신에 “경기침체가 불가피한 일은 아니다. 우리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인플레이션을 극복할 강력한 위치에 있다”라고 강조한 것과 궤를 같이 한 발언이다.

옐런 장관은 “경제가 안정적 성장기로 이행하며 둔화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침체가 아닌 둔화라는 표현을 썼다.

그는 41년만에 최고 수준인 물가상승률에 대해 “물가 상승이 용납할 수 없게 높은 수준”이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식량과 에너지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했다. 또 노동시장에 대해선 “2차 대전 이후 가장 강력하다”면서 “조만간 인플레이션의 속도가 둔화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고문인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CBS에 출연, 경기 침체 가능성에 선을 그으며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입법 노력을 촉구했다.

디스 위원장은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지 않을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미국 경제의 유연성을 과소평가하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물가 안정을 위해 정책적으로 취할 수 있는 조치들에 집중할 것”이라며 “가장 효과적인 일은 의회와 협력해 가계 비용 부담을 낮추는 입법안들을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지숙 기자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