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공 전용 쌀 분질미로 식량안보-쌀 공급과잉 잡는다…2027년 밀가루 연간 수요의 10% 대체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쌀 가공산업 활성화 방안 발표
식량자급률, 2020년 45.8%→2027년까지 52.5%
밀자급률, 2020년 0.8%→ 2027년 7.9%,
쌀가공산업 시장규모, 지난해 7.3조3→2027년 10조원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8일 정부세종청사에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윤석열 정부의 초대 농업·농촌 정책을 이끄고 있는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식량주권 확보와 밀가루 대체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통해 2027년까지 밀가루 연간 수요의 10%가량을 가공 전용 쌀 분질미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2020년 45.8%에 불과했던 식량자급률을 2027년까지 52.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포석이다. 또 1% 미만인 밀자급률도 2027년까지 7.9%로 늘리고 쌀가공산업 시장규모도 지난해 7조3000억원에서 2027년 10조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 장관은 2017년 농촌진흥청장시절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밀대신 쌀가루가 식탁을 장악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추진한 식량안보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정 장관은 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2027년까지 가공 전용 쌀로 개발된 분질미 20만톤(t)을 공급, 연간 밀가루 수요(약 200만 톤)의 10%를 대체한다는 목표 아래 ▷안정적 원료 공급체계 마련 ▷산업화 지원 ▷가공식품 소비 기반 확대 등 3대 주요 정책과제가 제시됐다.

일반 쌀은 전분 구조가 밀착되어 단단하기 때문에 가루를 만들기 위해 습식제분을 하는 반면, 분질미는 밀처럼 전분 구조가 둥글고 성글게 배열되어 있어 건식제분이 가능하다. 제분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전분 손상은 적어 일반 쌀가루보다 밀가루를 대체하는 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우선, 안정적 원료 공급체계 마련관련해서는 밀-분질미 이모작 전문 생산단지를 내년 10 개소에서 2027년 200개소로 늘리고 전략작물 직불제를 신설키로 했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분질미 20만 t을 시장에 공급한다는 목표 아래 4만2000ha 수준의 일반 벼 재배면적을 분질미로 전환한다. 올해는 기존 분질미 재배 농가, 농진청과 도농업기술원의 시험포장을 활용해 분질미 재배면적을 작년 25ha의 4배 수준인 100ha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를 거쳐 2023년부터 공익직불제 내에 전략작물직불제 신설을 추진해 참여 농가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산업화 지원과 관련해서는 공공비축제도를 활용한 분질미 공급체계를 운영하고, 식품·제분업계에 시료 제공,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분질 쌀가루를 활용한 전략 제품을 개발한다. 정부는 매년 3~5월에 농가별로 분질미 매입 계약을 체결한 후 수확기에 농가가 생산한 분질미를 공공비축미로 매입하고, 이를 밀가루를 분질미로 대체하고자 하는 실수요업체에 특별 공급할 방침이다.

쌀가루를 활용한 제품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식품기업 등 대량 수요처와 연계한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추진한다. 단기적으로는 분질 쌀가루 특성 평가·연구와 함께, 식품업계 등 대량 소비처에 분질 쌀가루를 시료로 제공해 현장 시험과 제품개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올해는 분질 쌀과 쌀가루 1톤을 CJ제일제당, 농심미분, 농협오리온 등 식품·제분업체와 제과제빵업체에 제공해 제분 특성과 품목별 가공 특성을 평가할 계획이며, 내년에는 이를 100톤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쌀 가공식품 소비기반 확대와 관련해서는 분질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민·관 공동 거버넌스를 운영하고, 업계의 식품인증 활용과 수출 확대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분질미 생산자, 소비자단체, 제분 업체, 가공업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가칭)쌀가루 산업 발전협의체’를 운영할 방침이다.

정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안정적인 가공용 분질미 원료 공급-소비 체계를 구축해 쌀 가공산업을 육성하고, 이모작을 활성화함으로써 식량자급률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를 통해 쌀 수급 과잉으로 소요되는 시장격리, 재고 관리 등의 비용을 절감해 밀·콩 등 식량 자급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투자 재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