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성매매피해 아동청소년, 절반은 채팅앱으로 유인”…중학생 피해 최다
여가부, 성매매 피해 아동청소년 지원센터 보고서
피해연령 14~16세(40.3%)>17~19세(38.7%)
채팅앱으로 유인 46.5%>친구ㆍ지인 12.8%
그루밍 269건>폭행·갈취 159건>가출 강요131건

[123rf]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성매매 피해를 입은 아동청소년 중 절반 가량은 ‘채팅앱’을 통해 피해에 노출되고 있으며, 피해 연령은 중학생인 14~16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1년 전국 ‘성매매피해아동·청소년 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 운영 연차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동·청소년 성매매 유입 경로는 채팅앱이 338명(46.5%)으로 가장 많고, 친구 및 지인 93명(12.8%), SNS(사회관계망서비스) 78명(10.7%) 등의 순이었다.

피해 내용은 길들이기(그루밍) 269건, 폭행·갈취 159건, 강요에 의한 가출 131건 등 1372건이 보고됐다.

연령별로는 14~16세가 293명(40.3%)으로 가장 많았으며 17~19세 281명(38.7%), 10~13세는 48명(6.6%)이었다.

전국 지원센터 17곳은 지난해 아동·청소년 피해자 727명에게 1만2520건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했다.

유형별로는 상담이 9608건(76.7%)으로 가장 많았고 법률지원 1274건(10.2%), 의료지원 578건(4.6%) 등의 순이었다

지원센터는 피해 청소년이 귀가 이후 다시 성매매에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자의 관심이 중요하다고 보고, 부모 등 법정대리인 78명에게 피해 재발방지 교육을 355회 실시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성매매 감시활동 1만1993회, 유흥업소 밀집 지역등 현장방문 63회 등을 실시했다.

최성지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아동과 청소년 대상 성매매는 성폭력 등 또 다른 성범죄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피해 발생 전 신속한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성매매 예방 활동 및 사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