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 노동력 유휴화 심각…고용정책 패러다임 바꿔야”
경총, 최근 5년 ‘여성고용 동향 및 개선과제’ 발표
30~40대 1년 이상 비경제활동인구의 90% 이상
성별로 달라진 실업 상황…여성 실업자 증가 뚜렷
[123RF]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여성의 실업과 경력단절 등이 심각한 가운데 여성 인력의 노동시장 이탈 방지에 초점을 둔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5일 ‘여성 고용 동향 및 개선과제’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2017∼2021년) 여성 고용 특징을 분석한 결과 여성 노동력의 유휴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해 기준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의 70.5%가 여성이었다. 특히 핵심 경제활동 연령인 30∼40대에서는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의 90.8%가 여성으로 조사됐다.

경총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각종 노동시장 이탈 방지 정책에도 30∼40대 비경제활동인구의 여성 비중이 2005년 91.7%, 2010년 90.9% 등과 비슷하다고 분석했다.

또 30대 여성 인구의 23.9%, 40대 여성 인구의 24.4% 등 30∼40대 여성 인구의 4분의 1이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졸 이상 여성의 경우 20대 고용률은 높은 편이지만, 30대부터 떨어지기 시작해 그대로 하락했다. 초대졸 여성은 20대 후반과 30대 후반의 격차가 20.8%포인트(p)로 다른 학력보다 큰 등락을 보이며 경력단절 현상을 가장 크게 겪고 있었다. 고졸 이하 여성의 경우 20대 고용률이 다른 학력에 비해 낮아 노동시장 진입 과정의 어려움이 두드러졌다.

[통계청 자료]
[통계청 자료]

남성보다 실업 상황 차별화 문제도 심각했다. 최근 5년간 여성 실업자는 연평균 2.0% 증가했지만, 남성 실업자는 0.6% 정도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19 유행이 심각했던 2020년의 여성 실업자 수는 48만4000명으로, 1998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당시(48만6000명)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최윤희 경총 고용정책팀 책임위원은 이에 대해 “‘기업 단위’에서 여성 인력의 노동시장 이탈 방지에 초점을 둔 여성 고용 유지 정책이 여성 인력의 저활용 문제를 개선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를 비롯해 ‘노동시장 단위’에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더욱 많은 여성 인력이 손쉽게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 책임위원은 또 “여성 장기 비경제활동인구를 시장으로 유인할 수 있도록 2번째 소득원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고, 산업 전환기에 적합한 교육 훈련을 강화해 일자리가 늘어나는 산업 쪽으로 여성 인력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nd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