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거리두기 해제에 서비스물가 ‘들썩’...단체여행비 20%↑·대리비 13%↑
4월 개인 서비스물가 4.5% 상승
13년3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른 사적 모임 인원·영업시간 제한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됨에 따라 여행, 단체모임, 회식 등이 재개되면서 서비스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4월 개인 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4.5% 올랐다. 2009년 1월(4.8%) 이후 13년3개월 만에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4월의 전체 소비자 물가상승률(4.78%)에 대한 개인 서비스의 물가 기여도는 1.40%포인트로 집계됐다. 공업제품(2.70%포인트) 다음으로 물가 상승 기여도가 높았다. 개인 서비스는 외식과 ‘외식 외’로 나뉘는데, 외식(6.6%)보다는 외식 제외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률(3.1%)이 낮았다.

하지만 품목별로 보면 국내 단체여행비(20.1%), 대리운전 이용료(13.1%), 보험서비스료(10.3%), 국내 항공료(8.8%), 세차료(8.1%), 영화관람료(7.7%), 여객선료(7.2%), 간병도우미료(7.1%), 목욕료(6.8%) 등 외식 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서비스도 적지 않았다.

세탁료(5.9%), 택배 이용료(5.4%), 골프장 이용료(5.4%), 호텔 숙박료(5.4%), 가사도우미료(5.1%), 사진 서비스료(5.1%), 찜질방 이용료(4.8%), 주차료(4.7%) 등도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공업제품 물가 상승이 국제 유가 상승 등 공급 쪽 요인에 주로 기인한다면, 개인 서비스 물가는 통상 수요 쪽 물가 압력을 반영하는 지표로 평가된다.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코로나19 확산 첫해인 2020년 2∼8월에는 1.0∼1.1% 수준에 그쳤다. 하지만 이후 점차 상승 폭을 키워 지난해 3월 2%대에 진입했고, 작년 11월 3%대로 올라선 뒤 올해 2월에는 4%대로 레벨을 높였다.

여기에는 원재료비, 운영경비 상승 등 공급 쪽 요인도 작용했지만,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경제주체들이 점차 변화된 생활 방식에 적응하면서 소비 수요가 회복된 측면도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통계청의 온라인쇼핑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여행 및 교통서비스’와 ‘문화 및 레저서비스’ 거래액은 1년 전보다 각각 51.8%, 26.8% 증가했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서비스업 부문의 소비 회복은 반가운 일이지만, 물가 측면에서는 수요 쪽 압력으로 작용해 물가 오름세를 더 가파르게 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오르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려 오히려 소비 회복을 저해할 가능성도 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