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강남서 수도권까지 번진 재건축 강세…철산주공13단지 ‘세 낀 매물’ 신고가
보름 만에 6000만원 급등
“인근 신축대비 상승여지 충분”
하안동 단지도 투자문의 늘어

강남권과 1기 신도시 등에서 이어지던 재건축 시장 강세가 또 다른 수도권 지역인 경기도 광명시로도 번지고 있다. 2차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앞두고 재건축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경기 광명시 철산주공13단지(사진)에서 세 낀 매물이 신고가에 거래됐다.

6일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철산주공13단지 83㎡(전용면적)은 지난달 14일 신고가인 11억6000만원(6층)에 거래됐다. 이 매물은 2020년 7월에 전세 계약을 맺어 아직까지 2년의 전세 계약기간이 끝나지 않은 상태다.

그런데도 같은 면적의 주인 실거주 매물이 3월 25일 11억원(14층)에 거래된 것보다 보름만에 6000만원 더 오른 가격에 팔렸다.

이 단지는 지난 1986년 준공된 37년차 복도식 노후아파트다. 용적률 170%의 대단지로 향후 재건축시 사업성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근 A공인 대표는 “최근 1기 신도시에서 재건축 단지들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며 “준공 30년차 이상 아파트에서 재건축 2차 안전진단 면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 등이 합쳐진 결과로 매수세가 붙었다”고 말했다.

또 “이 단지 바로 옆에 있는 ‘철산역 롯데캐슬&SK VIEW 클래스티지’(올해 3월 준공) 84㎡의 호가가 16억5000만원~17억원에 형성돼 있어 향후 13단지가 신축이 될 경우 여전히 투자가치가 있다는 계산도 섰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1억~12억원의 아파트 가격대가 실거주와 갭투자의 차이를 없애다시피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광명 B공인 대표는 “이 단지는 30평대 기준 전세가가 노후단지 특성상 5억원을 넘지 않는다. 즉, 12억원 매물을 갭투자할 때 약 7억원이 현금으로 필요하다”며 “실거주로 매수하며 주택담보대출를 받을때도 약 4억원(LTV 적용)까지만 대출을 받을 수 있어 투자든 실거주든 필요한 자금은 대동소이하다”고 설명했다.

광명 재건축 단지에 대한 투자 열기는 철산동과 인접한 하안동도 마찬가지다. 인근 공인중개업계에 따르면 주공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문의가 늘고 있다. 이미 하안주공 5·7·12단지(모두 33년차)는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했고 다른 단지들 역시 준공년도가 1989년에서 1990년으로 30년을 넘겨 최근 예비안전진단을 신청한 상태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