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커진 인플레 압력, 다가온 고통의 시간, 대비는 모두의 몫

물가에 날개가 달렸다. 연일 발표되는 지표마다 인플레 압력이 얼마나 가중되고 있는지를 재확인해 준다. 국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건 먹거리 물가다. 특히 최근의 외식 물가 상승 추세는 거의 치명적인 수준이다.

통계청이 최근 집계해 발표한 3월 외식 물가는 1년 전보다 6.6% 올랐다. 1998년 4월 이후 23년11개월 만에 가장 상승폭이 크다. 하지만 상승률 수치뿐이라 얼마나 올랐는지 체감도가 떨어지는 통계청 지표에 비해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하는 참가격은 비명이 나오게 만든다.

10일 발표된 참가격에 따르면 3월 서울 지역 칼국수 1인분의 평균가격은 8115원이다. 냉면은 9962원이다. 각각 1년 전보다 8.8%, 9.7% 올랐다. 음식 가격이 대부분 1000원 단위이니 최저 가격이 각각 8000원, 9000원이란 얘기다. 그나마 이건 외곽의 저렴한 식당 가격까지 평균한 가격이다. 도심에서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외식물가는 이보다 한참 높다. ‘명동교자’의 칼국수는 1만원이고 ‘봉피양’의 냉면은 1만5000원이다. 4명이 식사하고 5만원 가까운 돈을 선듯 내겠다고 나서기 쉽지 않다. 국민 대표 외식품목인 김치찌개·백반·비빔밥·삼겹살·짜장면·삼계탕·김밥 등도 상승률만 차이날 뿐, 빠짐없이 오른 건 마찬가지다.

그뿐이 아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2분기 소매유통업계의 경기전망지수(RBSI)’도 완연한 회복세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소매업경기가 본격적으로 정상화 궤도에 들어섰다는 얘기다. 다음 수순이 상품 가격 자극과 인상이란 건 거의 기정 사실이다. 인플레 압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보다 확실한 건 없다.

새 정부 경제정책의 최대 과제는 물가 잡기다. 지금은 모든 물가 압력이 일시에 분출되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물가잡기에 나설 수밖에 없다. 모든 경제주체의 고통을 수반하는 일이다. 가장 직접적인 대책은 금리 인상이다. 서민 취약계층의 고통이 가장 크다. 그러니 정부도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재정의 효율화는 필수다. 자영업 손실 보상을 제외한 모든 분야의 일괄 지출 축소까지 검토해야 한다.

걱정되는 건 정부 관료들이 이런 고통 수반 정책을 제대로 시행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최근 10여년간 한국 경제는 인플레에 관한한 태평성대였다. 수입 개방과 온라인 유통 혁신은 손쉬운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고 공급 측면의 물가 압력을 상쇄했다.

지금은 호시절의 기회비용을 고통으로 지불해야 하는 시기다. 경제관료들이 정치와 선거에서 분리된 정책 결정에 나서야 할 때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