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당선인, 5월10일 취임 첫날 용산 업무 가능할 수도”
용산이전계획 예비비 300억원 이번주 내 상정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달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며 공개한 조감도 속 대통령집무실이 예정된 건물을 가리키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대통령집무실 용산이전을 위한 필요예산 중 일부가 이번 주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전해지면서 취임 첫 날인 5월 10일부터 용산에서 업무를 하려는 윤 당선인의 계획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취임 전 대통령집수실의 완전한 이전은 힘들더라도 최소한의 필수인력을 활용한 업무가 완전히 무리는 아니라는 것이 윤 당선인 측의 설명이다.

윤 당선인 측은 4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예비비가 의결되면 윤 당선인이 5월 10일 국방부 청사에 출근해 업무 개시 정도는 할 수 있지 않냐는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과거 정부를 보면 첫날에는 일사분란하게 움직일 수 있는 필수인력만 (청와대로) 이동했다”며 “이번에는 물리적 공간을 마련하고 사람을 옮기는 것인데, (그 공간 마련이 마련되면) 이번에도 필수 인력 정도는 가지 않겠나”고 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달 20일 대통령 집무실 용산이전 계획을 발표하며 취임 첫 날부터 용산에서 첫 업무를 시작하겠다고 공언했다. 함께 제시된 용산이전 계획 496억원이 다음날인 21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날인 21일 안보공백이 우려된다며 5월 10일 전 용산 이전은 ‘무리’라며 사실상 제동을 걸었다. 예비비의 국무회의 상정도 이뤄지지 않았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등이 연쇄적으로 움직이면 안보에 공백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오는 18일에는 한미연합훈련이 예정돼 있다. 윤 당선인 측도 현재 인수위원회가 있는 통의동에서 업무를 시작하겠다고 밝히면서 취임 첫날 용산 출근은 사실상 무산되는 듯 했다.

하지만 윤 당선인이 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꼭 이전을 하고 싶다”며 재차 의지를 밝혔고, 문 대통령도 “지금 정부는 정확한 이전 계획에 따른 예산을 면밀히 살펴 협조하겠다”고 화답하면서 취임 전 용산 이전 계획의 불씨가 다시 살아났다.

용산 이전계획과 관련된 양측의 실무 협상은 회동 이후에도 이어졌다. 양 측은 최근 496억원 중 합동참모본부 이전비용을 제외한 300억원 수준의 예비비를 1차적으로 집행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300억원은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비용 등에 쓰여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 측은 국방부 청사 3층에 있는 국방정책관실을 사용하고 1층을 기자실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늦어도 이번 주 내에 예비비를 국무회의에 상정한다는 데는 의견을 같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장제원 당선인 비서실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과 협상과 관련해 “자주 통화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윤당선인이 큰 틀에서 합의 방향이 있지 않나. 그 방향에서 미리 필요한 일이 있으면 수시로 연락하면서 원활히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