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新舊권력, 집무실 이전 300억원대 예비비 합의
5일 국무회의 처리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
합참 이전 예산 118억 원 등은 일단 제외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현 정부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이 실무협의를 원만하게 마무리하고 우선 300억 원대 예비비 지출 승인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 측이 공개한 용산 집무실 조감도. [헤럴드DB]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신구 권력 간 마찰을 빚어왔던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실무협의가 원만하게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 ‘청와대 이전 TF’ 관계자는 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관계부처 의견을 모아 300억∼400억 원의 예비비 지출을 우선 승인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실무협의는 큰 이견 없이 잘 마무리됐다”며 “청와대만 ‘오케이’하면 오는 5일 국무회의 의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측 실무진은 윤 당선인 측이 요구한 496억 원 중 300억 원대 예비비를 1차로 집행하자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기획재정부의 최종 입장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최근 실무협의에는 현 정부에서 국방부와 행정안전부, 대통령 경호처 등 3개 기관 실무진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 측은 청와대의 ‘안보공백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과 이달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 일정 등을 고려해 합동참모본부 이전 예산 118억 원 등은 1차 집행에서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오는 5일 예정된 국무회의에서 1차 집행하게 될 300억 원대 예비비가 처리될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재 청와대는 면밀한 예산 검토를 내세우고 있는데 당장 시간이 촉박한 형편이다.

5일 국무회의에서 300억 원대 예산이 처리되더라도 윤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일인 내달 10일까지 용산 집무실 및 한남동 관저 입주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윤 당선인 측 청와대 이전 TF는 조만간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홈페이지를 개설한다.

홈페이지에서는 기존 청와대 활용 방안과 용산 대통령실 명칭 등과 관련해 국민 아이디어를 취합할 예정이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